아하
검색 이미지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16

월세계약은 나갈때 청소비 주고 나가야하나요

안녕하세요. 동생이 월세집 사는데 계약 만료되니 집주인이 청소비를 7만원 주라고 하네요. 월세집은 이렇게 청소비를 주고 나오는게 맞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어상 공인중개사입니다.

    월세라고 만기시에 세입자가 청소비를 부담한다는 규정은 없는데, 일종의 잘못 굳어진 관행인 것 같습니다.

    보통 입주시에 청소를 하고 들어가기 때문에 이사를 나올때에는 정리정돈만 해놓고 나오면 되는 것입니다.

    계약 특약에 없다면 굳이 지불해야할 의무가 없으니 거절하셔도 좋겠습니다


  • 양정섭 공인중개사blue-check
    양정섭 공인중개사23.01.17

    안녕하세요. 양정섭 공인중개사입니다.

    임대인이 청소비용을 요구한다면 꼭 비용을 부담할 필요는 없습니다.


    제623조(임대인의 의무)

    임대인은 목적물을 임차인에게 인도하고 계약존속중 그 사용, 수익에 필요한 상태를 유지하게 할 의무를 부담한다.

    이를 볼때 다음 임차을 구하기 위한 청소비용은 임대인의 의무입니다.

    하지만 계약서 특약사항에 청소비에 관해 작성했다면 임차인부담입니다. 그리고 집이 너무 더러워 청소비용이 너무 많이 나왔다면 일정부분 비용을 부담할 수 있습니다.

    만약 청소비때문에 보증금 반환을 안 한다면 임차권등기명령제도를 활용합니다 임차권등기명령이 등기되면 이사가면 됩니다. 그리고 다른 임차인이 등기부를 확인할 때 이집 주인은 보증금반환을 잘 안한다라는 뜻이 숨어있습니다. 그래서 집주인은 꺼려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월세 계약할 당시에 청소비 등 아무 얘기가 없었다면 월세에 포함되어 있다고 보여질 수도 있고 이는 개인적인 계약에 있어서의 내용같습니다. 어느게 맞고 틀리고의 문제보다는 당사자들의 협의에 따른 내용이죠. 보통은 계약 당시에 나갈때 청소비 등의 계약내용을 언급하지 않았다면 임차인은 방빼고 임대인이 새로 청소하여 세입자를 받거나 할 뿐 따로 청소비를 내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물론 처음부터 청소비를 받으신다고 얘기하시는 분들도 있다면 이런 문제는 발생되지 않겠지만 깨끗하게 쓰셨다면 문제 없으셨을 거고 혹여나 도배등에 문제가 생길경우 청구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원칙상 청소비를 반드시 주어야 하는것은 아닙니다. 다만 퇴거시에 주택내 상태가 입주때와 달리 좋지 않을 경우 임대인이 원상복구 의무를 이유로 요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보통은 입주시에 입주청소등을 임대인이 지불하여 해준 경우 청구하는 경우가 많고 입주시 본인이 입주청소비용을 부담하여 하였다면 퇴거시에 청소비용을 내지 않아도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