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면서도 꿈을 자주 꾸는 것이 숙면을 취함에 있어 어떤 영향이 있나요?
보통 잠을 자다보면 어떨 때는 꿈을 2~3개씩 꾸는 경우가 있더라고요.
그럴 땐 뭔가 자고 일어나도 개운함이 크게 느껴지지 않고 오히려 피곤함이 잘 회복되지 않은 거 같아서 지치더라고요. 주변에 베개에 머리를 대자마자 푹 자는 친구들의 말을 들어보면 꿈을 꾼 적이 딱히 없다고 하던데, 꿈이 숙면과 영향이 있는건가 궁금해지더라고요.
숙면과 꿈을 꾸는 것에는 어떤 영향이 있는 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꿈을 많이 꾸고 기억나는 건 대부분 렘수면 중에 깼다는 신호예요. 깊은 수면에 들지 못하고 자주 깨다 보니 꿈도 많이 기억나고 피곤함도 덜 풀리는 거죠. 수면의 질이 좋지 않다는 의미일 수 있는데, 스트레스나 불규칙한 수면습관, 수면 전 전자기기 사용 같은 것들이 원인이 될 수 있어요. 잠들기 전 2시간은 스마트폰을 멀리하고, 규칙적인 수면 시간을 지키시면 도움이 될 거예요.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꿈은 숙면과 관련이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습니다. 주로 REM 수면 단계라고 해서 얕은 잠을 잘 때 꿈이 잘 일어나는데, 이 단계는 기억을 정리하고 감정을 처리하는 시기로, 꿈을 꾼다는 것이 수면이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신호이기도 합니다.
꿈 자체가 피곤함을 유발한다기보다는, 꿈을 많이 기억하거나 꿈 때문에 자주 깨는 것이 피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꿈을 꾼 후에 REM 수면 단계에서 깨어날 경우 꿈을 더 생생하게 기억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꿈을 자주 기억한다면 수면 중 자주 깨어났음을 의미하며 이는 숙면을 방해할 수 있겠습니다. 그렇지만 꿈을 기억하지 않는다고 해서 꿈을 아예 꾸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수면 단계가 더 아정적이고 깊게 유지되어서 꿈을 잘 기억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매일 일정한 시간에 자고 일어나는 규칙적인 수면 습관을 유지해야 수면의 질을 높일 수 있습니다. 조용하고 어두운 환경에서 수면을 취하시고 명상이나 이완 기술을 활용하여 자기 전 몸과 마음을 편안하게 만드세요. 평소 스트레스가 많으면 꿈이 더 자주 발생하므로 스트레스 관리도 중요합니다.
정리해보면 꿈 자체는 수면의 자연스러운 부분이며 반드시 숙면과 관련있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꿈을 자주 기억하거나 꿈 때문에 자주 깨는 것이 숙면을 방해하고 피로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정재 의사입니다.
보통 꿈은 REM 수면 단계에서 이루어지고 REM 수면 단계가 과도하게 길어지면 오히려 피곤하고 숙면을 방해할수 있다고 합니다. 평소에 적절한 수면, 휴식, 운동을 통해서 수면패턴을 일정하게 유지하는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꿈은 주로 램수면에서 나타나게 되며, 꿈을 많이 꾸는 경우는 REM 수면이 많거나, 수면 중 자주 각성이 일어나면서 REM 수면이 반복되는 경우일 수 있습니다. 꿈을 많이 꾸게 되지만, 깊은 수면이 방해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로인해 숙면이 부족할 수 있으며, 아침에 개운함이 덜 느껴질 수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되셨으면 합니다.
평가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네 수면중에 렘수면동안 꿈을 꾸게 되는데 렘수면과 비렘수면으ㅢ 비율이 잘 맞아야 하는데 꿈을 많이 꾼다면 이 균형이 무너진 경우에 해당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