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성숙한꿩234
성숙한꿩234

우리나라 건설사 미수금 관련 궁금합니다.

오늘 뉴스를 듣다보니 우리나라 주요 건설사들 미수금이 약 17조나 된다고 하네요. 미분양 때문에 이런 일이 생기는 건지 궁금합니다. 앞으로 받을 돈인거 같은데 모두 회수 되면 건설경기가 살아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미수금 17조는 대우건설이나 현대건설 등 국내 10대 건설사가 국내외에서 받지 못한 공사비인데, 국내 아파트 분양 후 일정 시점이 지나야 받을 수 있는 대금도 있지만, 대우건설이 쿠웨이트에서 수주한 정유공장 사업, 리비아 복합화력발전소 공사, SK에코플랜트의 파나마 석탄화력발전소 사업, 현대건설 폴란드 석유화학플랜트 사업 등 해외 프로젝트에서 발생한 대금들은 수금이 쉽지 않은 경우도 많습니다. 건설사업은 특성상 미수금을 어느정도 깔아놓고 진행하는 경우가 많지만 미수금이 증가하면 자금 경색이 일어나 문제가 될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17조 미수금을 받는다고 해도 건설경기는 수요에 의해 좌지우지 되기 때문에 입지 좋은 곳에 지을 땅이 부족하고 그에 따른 수요가 줄어들어 앞으로도 건설업은 불황이 지속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우리나라 건설사들의 미수금이 약 17조 원에 달한다는 소식은 건설업계의 어려움을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미수금은 건설사가 이미 수행한 공사에 대해 아직 받지 못한 금액을 의미하며, 이는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미분양 문제**: 미분양 주택이 많아지면 건설사들은 판매가 이루어지지 않아 수익이 줄어들고, 이로 인해 미수금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미분양이 많으면 건설사들은 자금 유동성에 어려움을 겪게 되고, 이는 전체 건설 경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 **공사 지연 및 계약 문제**: 공사 지연이나 계약 변경 등으로 인해 미수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건설사들이 예상한 수익을 제때에 확보하지 못하게 만듭니다.

    3. **경제 전반의 불황**: 경제 전반의 불황이나 금리 인상 등 외부 요인도 건설사들의 미수금 증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경기가 좋지 않으면 건설 수요가 줄어들고, 이는 미수금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미수금이 모두 회수된다면 건설사들의 재무 상태가 개선될 수 있고, 이는 건설 경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미수금 회수와 건설 경기가 살아나는 것은 단순한 연관관계가 아닙니다. 미수금이 회수되더라도, 시장의 수요와 공급, 경제 전반의 상황, 정부 정책 등이 함께 작용하여 건설 경기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결론적으로, 미수금 문제는 건설사들에게 큰 부담이지만, 이를 해결한다고 해서 자동으로 건설 경기가 회복되는 것은 아닙니다.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므로, 앞으로의 시장 상황을 지켜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우리나라 경제의 뇌관이라고 표현을 하는 것이 부동산 PF대출입니다.

    고금리의 장기화로 대출이자가 급증을 하고 물가상승으로 인한 건설자재비 상승, 인건비 상승으로 분양가가 상승을 하게 되고 국내 부동산 시장의 위축으로 미분양이 속출을 하고 있어 부동산 PF대출 회수가 불투명한것이 현실입니다.

    우선적으로 건설경기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금리가 내려야 합니다. 금리가 내리고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이 나오고 또한 국제 전쟁이 종식이 되고 건설자재, 에너지 가격이 하락을 해서 건설원가가 낮아져야 어느 정도 건설경기가 좋아지지 않을까 사료됩니다. 현재는 고금리의 장기화, 정부의 대출규제로 부동산 침체기속이고 이러한 환경속에서 건설경기는 더더욱 살아남기 힘든 구조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