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용·노동

근로계약

모레도뻣뻣한셀러리
모레도뻣뻣한셀러리

수습기간 중 평가에 따라 채용취소 한 인원은 퇴직 시 상실코드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상기 제목의 주제로 하여 질문 드립니다.

A라는 임직원을 정규직으로 채용하였습니다.

체결한 근로계약서에는 수습기간 3개월 간 근무 태도, 업무 능력 등을 포함한 평가를 통해

채용을 취소할 수 있다고 적혀있습니다.(*수습과 정규직 근로계약이 분리되어 있지 않음)

A가 평가가 좋지 않다보니, 채용취소통보를 하였습니다.

이 경우,

질문1) 퇴직 시 상실코드를 26-3과 32중 무엇으로 할 수 있나요?

질문2) 32에서 세부코드 1,2,3 이 있는데 이중 무엇으로 선택해서 신고할 수 있나요?

<참고, 상실코드>

26-③ 근로자의 업무상 과실(업무능력 미달 포함) 등 귀책사유가 징계해고 정도는 아니지만 사업주가 퇴직을 권유하여 이직한 경우

32 예약기간만료, 공사종료 ① ② ③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인도 노무사입니다.

    귀 질의의 사실관계만으로는 명확히 판단이 어려우나, 권고사직의 경우라면 23번 코드일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차호재 노무사입니다.

    귀 질의만으로는 정확한 사실관계의 판단이 어려우나,

    상기의 경우 애당초 3개월 기간의 정함이 있는 근로계약이 아니라면

    해고 또는 권고사직에 해당하고, 계약만료는 아니겠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1. 26-3으로 신고를 하여야 합니다.

    2. 근로자에 대한 수습평가가 좋지 않아 채용취소를 한다면 26-3으로 하시면 될 것으로 보입니다.

    3.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

    근로계약을 체결하여 수습근로를 하던 중에 평가를 통해 본채용이 거절된 경우라면 근로관계 종료에 대해 근로자가 동의하였다면 권고사직으로 23번 또는 26번 코드에 해당합니다.

    1명 평가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