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고용·노동
다부진종다리32
다부진종다리32
22.12.08

휴직기간 연차일수 산정 방법이 어떻게 되나요

근로자 올해 한분이 개인적인 사정으로 7개월 간병휴직을 썼고 나머지 기간동안은 다 출근했습니다

이분이 올해 받을 연차일수는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간병휴직 : 4~10월(7개월)

근무월 : 1~3월, 11~12월(5개월)

직종 : 경비단속적업무

일주일단위 근무 패턴 : 주간2일, 야간2일, 휴일2일

근무시간 : 주간 06~18시, 야간 18시~다음날06시

이분이 휴직을 안했다면 정상적으로16일(15+1) 발생



제가 이해하기로 사용자와 협의하에 휴직으로 처리된 기간은 출근의무를 가진 근로일로 보기 어렵기 때문에 출근율 산정하는 기간에서 제외된다고 들었습니다


Q. 그래서 나머지 근무한 1~3,11~12월의 출근율을 구해서 80%이상일 경우

16일 * 151일(근무월의 일수) / 365일 = 6.6일 부여


만약 80%미만일경우엔 1개월 개근시 연차일수 1일 부여하면 되나요???


아닐 경우 산정방법 부탁드립니다ㅡㅜ



출근율 = 출근일수/소정근로일수

(휴직기간의 일수는 산정에서 제외)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