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햄버거가 거의 완벽에 가까운 음식이라면 한국의 김밥도 비슷할까요?
어떤 사람들은 미국의 햄버거가 정말 단탄지가 잘 갖춰진 음식이라고 평하던데
그렇다면 한국의 김밥에도 야채, 고기, 밥 등 다양한 식재료가 들어가니깐
한끼 식사로 충분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햄버거와 마찬가지로 김밥 역시 한끼의 식사로 충분히 좋은 음식입니다. 김밥은 밥을 주재료로 하여 단백질과 지방을 제공하는 달걀, 고기, 햄, 그리고 다양한 비타민과 식이섬유를 포함한 시금치, 당근, 오이 등의 채소가 조화롭게 어우러져 있어 영양학적으로 균형 잡힌 식단이 될 숭 ㅣㅆ습니다. 특히, 밥에 참기름과 소금을 더해 풍미를 살리고 속 재료의 맛을 조화롭게 이끌어내며, 햄버거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지방 함량이 낮고 채소 비중이 높아 건강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햄버거가 잘 구성된 패스트푸드의 상징이라면, 김밥은 다양한 재료의 조화를 통해 영양과 맛을 모두 잡은 한국의 대표적인 '완전 식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임원종 영양사입니다.
좋은 질문입니다
햄버거와 김밥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을 모두 갖춘 한끼지만 수치로 보면 김밥은 단백질이 상대적으로 적고 나트륨은 더 높은 편이라 김밥은 균형이 완벽하다고 보긴 어렵습니다.
팻시크릿 어플 기준 빅맥 1개(224g) 기준은 583kcal, 탄수화물 47g, 단백질 27g, 나트륨 902mg로 구성되어있습니다.
편의점 김밥 1줄 250g짜리는 대략 400kcal 내외이며, 단백질 10~15g, 나트륨은 제품에 따라 700~1,700mg까지 다양합니다.
<단백질 밀도>
위에 언급한 식품 기준으로 김밥은 동일 열량과 중량 기준 햄버거보다는 낮은 편입니다. 그래서 한끼 단백질 20~30g정도의 권고 섭취량에 비해 부족합니다.
<나트륨>
김밥은 단무지, 햄, 소스의 영향으로 고나트륨 제품이 많아서 일부는 WHO 1일 권고량인 2,000mg에 비해 권고량의 절반 이상을 한줄만 드셨을때 넘기게됩니다.
<영양기준>
보통 건강한 성인 기준 단백질 권장량은 최소 체중 1kg당 0.8~1.0g입니다. 예를 들어서 70kg 성인은 하루 약 65g에 끼니당 단백질 20g 내외로 드시는 것이 맞는데 김밥 한줄로는 부족합니다. 그래서 2줄을 드시는것이 낫죠.
<김밥 보완 팁>
속재료에 기름 뺀 참치나, 계란지단을 2개이상 사용해서 충분히 속재료를 채우시면 됩니다. 한줄에 20g을 목표로 하려면 참치는 130g이나 계란은 3개정도 필요합니다. 단무지, 햄, 치즈, 소스는 저염식품으로 활용하시고 국물은 맑은 미소된장국으로 보충하시거나 제외하시면 좋습니다.
답변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혜수 영양사입니다.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 패스트푸드 햄버거는 기본적으로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이 균형 있게 들어 있어 한 끼로 에너지를 충당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빵, 패티, 채소, 치즈, 소스가 결합되면서 탄단지의 조합이 비교적 단순하지만 효율적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일부 영양학적으로 “완전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합니다.
한국 김밥도 밥, 채소, 단백질원(계란, 햄, 어묵 등)을 포함하므로 한 끼 식사로 어느 정도 역할은 하지만 햄버거처럼 지방과 열량 측면에서 밀도가 일정하게 맞춰져 있지는 않습니다.
김밥은 종류와 속 재료에 따라 탄수화물 비중이 높거나 단백질과 지방이 적은 경우가 있어, 단순히 재료가 다양하다고 해서 영양적 균형이 항상 햄버거 수준으로 확보된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밥도 1끼 식사로 좋습니다.
김: 식이섬유, 미네랄
밥: 탄수화물
채소(오이, 시금치, 깻잎, 당근): 비타민
계란: 단백질
다만, 상대적으로 단백질이 적은 것이 흠입니다.
이 때, 소고기, 참치 등을 넣으면 더 훌륭합니다.
김밥은 1줄은 영양소 균형을 위해서는 최고입니다.
(라면과 같이 먹으면 좋기는 하지만, 자칫잘못하면 탄수화물 폭탄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