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양가상한제 아파트 가격을 정할 때 주변시세는 어떻게 분석이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부동산에 관심이 있는 30대 후반 직장인 남성입니다. 분양가 상한제 아파트를 보고 있는데 주변시세의 20프로 저렴하게 나온다고 하네요. 그러면 주변시세는 어떻게 분석이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주변시세는 말그대로 이전 실거래가등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고 주변 부동산에 방문하여 문의하면 확인이 가능합니다. 개발되는 단지 주변 비교가능한 아파트를 선택하여 해당 시세를 기준으로 분양가와 비교해 어느정도 시세차익이 생기는지를 따져 보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분양가 상한제 주택의 분양가를 구성하는 택지비와 건축비에 대한 구체적인 명세와 산정방식, 감정평가기관의 선정 등은 "공동주택 분양가격 산정 등에 관한 규칙"에 따라 정해지므로 실제 주변의 시세와는 차이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런 큰 차이로 인해 최근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는 공공주택 건설에 있어 건설사들이 원가상승과 PF대출 부담등으로 계약을 포기하거나 대금 연체로 공사가 취소되는 등의 문제를 겪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
평균적으로 주변 시세보다 저렴하다는 개념이고, 무조건 20% 저렴하다가 아닙니다.
토지가격, 시공비, 적정마진을 정해서 분양가가 책정됩니다.
근래는 건축비 상승으로, 그렇게 저렴하진 않습니다.
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주변 시세는 말 그대로 지금 짓는 아파트 주변의 시세를 보시면 됩니다.
요즘은 네이버 부동산, 호갱노노, 아파트 실거래가 등
여러 어플이 있어서 시세 보기가 편하니 시간 나실 때 검색해서 알아보시면 될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이미 주변시세는 형성이 되어 있습니다
분양공고 싯점에서 주변시세를 반영해서 분양가를 책정한다고 봅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말그대로 분양가 상한제 아파트 입지의 주변의 아파트들의 시세를 보는 것입니다.
비교로 해볼때 주변에 비슷한 평형과 비슷한 입지의 실거래가를 표본으로 조사하여 시세를 파악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