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T850모델
T850모델23.08.11

경동맥 초음파는 어떤경우에 검사하고, 진료과는 어디인가요?

나이
43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없음
기저질환
없음

경동맥 초음파는 어떤경우에 검사를 하고, 어느 진료부서를 찾아가야 되는지 문의드립니다.

그리고 제가 40대인데 한번쯤 검사받아보는것도 괜찮은지도 더불어서 문의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경동맥초음파는 해당부위가 좁아져서 뇌혈관질환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은지 보는겁니다.

    신경외과 신경과 순환기내과 등에서 시행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욱현 의사입니다. 경동맥 초음파는 원래 심장내과나 영상의학과에서 하지만 요즘은 내가의원에서도 많이 합니다. 동맥경화의 정도를 전체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검사입니다. 협착이 너무 심한 경우에는 (흔하지 않지만) 뇌혈관 관련 진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동맥 초음파는 머리쪽으로 가는 혈류의 이상 및 뇌경색등을 의심할 때 시행할 수 있습니다.

    머리로 가는 혈관은 모두 목을 통해서 지나가기 때문에 경동맥 초음파를 통해 혈류 이상을 파악합니다.

    검사는 내과에서 주로 시행하며 신경과등에서도 가능하나 병원마다 시행하는 부서는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어 방문전 해당 병원에 전화로 안내 받으시는 것이 정확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진료과는 내과 입니다.

    경동맥 초음파 검사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경동맥의 협착, 경동맥내 혈류 속도, 혈류의 방향 등을 측정하는 검사입니다.특히 목동맥은 죽상경화증이 비교적 자주 생기는 부분으로 침습적인 다른 검사에 비해 초음파를 이용해 죽상경화증의 상태를 정확하게 알아 낼 수 있습니다.또한 뇌졸중 환자뿐 아니라 평소 고혈압 등의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자신의 뇌혈관상태를 간단히 파악해 볼 수 있는 검사입니다. 실제 진료영역에서는 허혈성 뇌졸중환자의 경동맥 상태 체크와 경동맥에 스텐트 삽입술 또는 수술 전 후 추적검사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경동맥 초음파는 목부위의 혈관 맥박이 느껴지는 곳에 초음파 발생기구를 접촉시켜 검사를 합니다. 환자는 똑바로 누운 자세로 하여 베개를 사용하지 않고 목을 검사 반대편으로 돌려서 시행합니다. 경동맥 분지가 높은 경우, 목이 아주 짧은 경우, 혈관이 아주 깊게 위치한 경우 베개를 사용해 목을 최대한 젖힌 자세로 다소 불편할 수 있습니다.

    40대시면 검진목적으로 받아보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경동맥 초음파는 혈관의 동맥 경화 정도를 간단히 볼 수 있는 검사입니다. 당뇨나 고혈압 등의 문제가 있을 때 검사를 해 보지요. 물론 증상 없이 받아보셔도 문제는 없고 동네 내과나 가정의학과에 문의하셔도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경동맥초음파는 경동맥이 좁아진 상황을 의심해야할 때 검사하게 되는데 보통은 혈관외과에서 진찰합니다. 고혈압이나 당뇨, 고지혈증 등의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검사받아보시는게 좋겠습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