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세계약 만료전에 나간다하면 새로운 세입자는 기존의 세입자가 구하고 나가는 건가요?
월세계약상 나가는 날짜보다 5개월정도 빨리 나간다고 하면 계약상의 5개월동안 월세는 기존 세입자가
지불하든 아니면 직접 세입자를 구하고 나가든 하는 것이 절차상 맞는 건가요?
집주인은 아무 것도 하지 않아도 절차상 아무 문제가 없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양정섭 공인중개사입니다.
보통 임차인이 계약기간 중 계약해지 시 임대인과 협의에 의한 계약해지를 합니다. 임차인이 새임차인을 구하고 중개보수도 부담하는 조건으로 협의에 의한 계약해지를 합니다. 판례에 따르면 계약기간 중 계약해지 시 임차인이 중개보수를 부담하지 한다는 내용은 없습니다.
하지만 임대인은 계약만료 전 보증금을 반환할 의무가 없습니다. 그래서 서로 협의를 해서 계약을 종료하며 임차인은 보증금을 돌려 받습니다. 새임차인을 구할 때까지 임차인은 월세를 지불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곽대영 공인중개사입니다.
네~ 질문으로 주신 부분의 내용이 맞습니다.
세입자가 부동산에 집 내놓는다고 할때 다음세입자의 조건등 정도만 협의해서 알려주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강애 공인중개사입니다.
월세임대차 계약 중도에 임차인이 이사가고자 하면 다음 세입자를 구하고 이주해야 합니다.
임대인에게 계약해지 통지하고 부동산에 중개의뢰를 요청하세요. 계약만료일 까지 월차임은 지불해야 합니다. 임대인은 계약만료일에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반환해 주면 하자는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물론집주인은 부동산에 집을 내놓고 부동산 수수료는 내고 나가라 할겁니다
만기전 이사이기때문에 세입자가 적극적으로 부동산에 내놓으셔야 합니다
모든 일이 원만하게 해결되길 바라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법에는 임차인이 세입자를 구하라는 법은 없습니다.
하지만 임대인은 보증금을 계약기간 전에 미리 내어줄 의무도 없고 임차인의 계약파기로 인해 손해를 볼 이유도 없습니다.
그래서 절충하는것이 새로운 임차인이 들어오면 보증금을 내어 주는 것입니다.
도움되셨다면 추천!!좋아요!!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절차상 계약기간종료일까지 월세를 내거나 그전에 새로운임차인을 구해야 합니다. 임대인 입장에선 임대중이기 때문에 적극적이지 않은 경우가 많다보니 기존임차인께서 적극적으로 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