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늘씬한반딧불288
늘씬한반딧불28823.02.14

궁금한게있어요 무역에관해서요!!

뉴스를보면 무역수지는 늘어났는데 적자라잖아요 그럼 우리나라가 많이사들여서적자인건가요? 사들인만큼무역으로팔지못해서?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유영 관세사입니다.

    무역수지는 일정 기간동안의 수출과 수입의 차를 말합니다. 무역수지가 흑자인 경우는 수출이 수입보다 큰 상태를 말하며 적자인 경우는 수입액이 수출액 큰것을 말합니다. 우리나라 무역수지는 관세청에서 매월 발표 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무역수지가 늘었다는 것은 무역규모가 늘었다는 것으로 생가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무역협회에서 제공하는 수출입 통계를 참고하면 무역액의 규모는 2020년 이후로 늘고 있으나 2022년도에는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하게 되었습니다.

    이런한 무역수지 적자에 대한 한국은행의 분석내용이 있어 소개해 드립니다.

    참고가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제2022-33호] 최근 무역수지 적자 원인 및 지속가능성 점검

    주제 : 경제일반 저자 : 윤용준, 박동현, 주욱, 이선경, 김현익

    금융위기 이후 안정적 흑자기조를 유지하던 무역수지는 금년 들어 원자재가격 상승 등에 따라 적자 흐름을 지속하고 있다. 최근 무역수지 악화는 원자재가격 급등에 따른 非자원국의 공통적 현상이나 금년 적자규모가 과거 원자재가격 상승기보다 이례적으로 큰 상황이다. 본고는 무역적자 원인을 경기적 측면과 구조적 측면에서 살펴보고 지속가능성을 점검해 보았다.

    무역적자 원인을 점검한 결과, 먼저 경기적 측면에서 최근 무역적자는 원자재가격 상승에 따른 수입 급증에 대부분 기인하며, 중국 등의 경기둔화에 따른 수출둔화도 일부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역수지 변동 기여도를 수출입 단가 및 물량요인으로 분해하면, 1~8월중 무역수지는 전년동기대비 452억달러 감소하였는데, 단가요인으로 472억달러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조적 측면도 살펴보면, 수출구조에서는 LCD·선박·자동차 등 일부 주력품목의 추세적 수출둔화와 해외생산 확대 등이, 수입구조에서는 중간재 및 자본재 수입수요 확대 등이 무역수지 약화 요인으로 일부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분간 무역수지는 국제유가가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가운데 글로벌 경기둔화의 영향이 본격화되면서 수출 둔화 및 수입 증가에 따른 적자 흐름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다만 무역적자의 대부분이 수입 급증에 기인하는 만큼 원자재가격이 안정될 경우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경상수지의 경우는 무역적자에도 불구하고 무통관수출 증가, 본원소득수지 흑자 등으로 연간 흑자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나, 당분간 월별로는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도 있다. 경상수지 흑자 기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국내 투자여건 개선 및 혁신생태계 조성을 통해 국내 기반 제조업의 수출경쟁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


  • 안녕하세요. 박재성 관세사입니다.

    1. 무역수지

    무역수지는 상품의 수출입 거래에서 생기는 국제수지로서, 상품의 수출액과 수입액의 차액을 말합니다.

    수출액이 수입액보다 크면 무역수지 흑자라고 하며, 반대로 수입액이 수출액보다 큰 경우 무역수지 적자라고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가 외국에 수출한 금액이 100원이고, 우리나라가 외국에서 수입한 금액이 70원이라면 30원의 무역수지 흑자가 났다고 합니다. 반대로, 우리나라가 외국에 수출한 금액이 100원이고, 우리가 수입한 금액이 120원이라면 20원의 무역수지 적자가 났다고 표현합니다.

    무역수지는 수출의 경우 본선 인도 가격(FOB), 수입은 운임·보험료 포함 가격(CIF)으로 계산합니다.

    2. 현 상황

    우리나라의 경우 지난해 연간 무역적자 규모가 472억 달러에 달하며, 지난해 4월부터 9개월 연속 적자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연간 기준으로는 금융위기 이후로 14년 만에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무역수지 적자의 가장 큰 원인은 에너지 수입 급증으로, 정부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원유, 가스, 석탄 등 3대 에너지 수입금액이 1908억 달러인데, 이는 2021년 대비 784억 달러 증가한 수치로 에너지 수입금액이 급증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에너지를 수입에 전적으로 의존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인데, 지난해 초 러-우 전쟁등으로 인해 에너지 가격이 급등하여 높은 가격에 에너지를 수입하다 보니 에너지 수입금액이 급증하였고 무역수지가 악화될 수 밖에 없었습니다.

    또한, 경기침체로 인해 반도체를 비롯하여 전반적으로 수출이 둔화됨에 따라 수출 증가세가 둔화된 것도 무역수지 적자의 원인 중 하나입니다.

    https://www.bok.or.kr/portal/bbs/P0002353/view.do?nttId=10072621&menuNo=200433&pageIndex=1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

    무역수지 적자 여부를 판단할 때는 수입실적과 수출실적을 동시에 확인하여야 합니다. 수입실적이 수출실적보다 높은 경우 일반적으로 무역수지가 적자라고 판단합니다.

    수입실적을 먼저 살펴보면, 최근 무역적자 대부분이 에너지와 원자재 가격 등의 수입단가 상승으로 인해 나타났는데, 주요 원인으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인한 원유‧가스‧석탄 등 에너지와 원자재 가격이 수급불안으로 급등하였기 때문입니다.

    수출실적을 다음으로 살펴보면, 우선, 우리나라 최대 수출 국가인 중국의 수입시장 위축되었습니다. 우리나라가 무역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국가는 중국인데, 현재 상황으로 보았을 때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실적이 중국 산업 경기 둔화와 연계되어 있는 만큼 빠르게 회복하는 것을 기대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 가격이 하락하였습니다. 경기 침체에 따른 수요 감소와 재고 누적 등으로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하락한 것이기 때문에 글로벌 경기가 살아나서 수요가 증가하지 않는 한 회복하는 것이 쉽지 않아 보입니다.

    상기와 같이 수입실적은 증가하고 수출실적은 감소하여 무역적자가 발생했다는 점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

    무역수지는 상품의 수출입 거래에 따르는 대금의 수불을 말합니다.

    즉 수입금액이 수출금액보다 크면 무역적자, 반대의 경우는 무역흑자 것입니다.

    최근 무역수지 적자의 가장 큰 원인은 에너지 부문에서 원자재값 인상으로 인하여 에너지 수입금액이 증가하여 적자 폭도 확대되었지만,

    대중국 무역수지 적자 전환도 큰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국내 무역수지의 효자 역할을 하였던 대중국 무역수지는 지난해 5월 상하이 봉쇄조치를 기점으로 적자 전환 이후 적자 폭이 확대되는 양상입니다.

    또한 미국의 금리 인상 등으로 인하여 소비 심리가 위축되어 전자제품의 수요 하락이 진행되었고 그 결과 우리나라의 반도체 수출량 계속 큰 폭으로 줄고 있는 것도 무역 적자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답변 내용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박재민 관세사 드림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는 작년 수출이 6,839억달러로 높은 수준을 기록했지만 무역적자를 기록하였습니다. 결국 수입액이 늘어난 것은 환율이 올라가고 물가상승 및 에너지가격의 상승으로 인한 것이 크고, 수출의 입장에서는 가장 대표적인 수출품목인 반도체의 가격하락이나 우리나라 최대시장인 대 중국 수출액 저하가 원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현재 무역적자는 원자재가격인상 및 경기둔화로 인한 소비감소에 기인된 것입니다.

    현재 천연가스가격 및 유가가 하락하였다고 하더라도 아직은 높은 상태이며, 우리나라의 주력수출품인 반도체, 자동차가 경기침체로 인하여 수요가 감소한 것도 무역수지 적자의 큰 요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경기 둔화가 침체로 변경되고 이러한 침체가 극복될 쯤에 무역수지가 다시 흑자로 돌아서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하며, 도움이 되신경우 추천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