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똥깽이
똥깽이24.03.08

어깨나 손가락이 안 좋은 엄마랑 헬스 다니려고 하는데요

나이
20
성별
여성

병원에서는 항상 일 쉬세요라는 말을 듣고오는 정도의 상태인데요 김종국님이 허리 때문에 헬스 하고계신거처럼 저희 엄마도 근육을 키워서 관절을 보호하게 하면 어떨까 싶어서 같이 다니려구 하는데 웨이트 해도 될까요?

손은 붓고 저리시다 하시고 어깨 팔도 아프시다 하시고.. 다리는 하지정맥류..? 그거 있으셔요 하면 저중량 고반복 형태로 할 예정이에요

배터리 끼우고 빼면서 확인하는 반복노동 때문인지 상체는 다 아프시다 하시더라구요 뒷목도 그렇고.. 안 아팠음 하는 마음에 하려구 합니다 가벼운 웨이트가 안 되면 뭘 해주는 게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어깨 및 손가락이 안좋으신 것이라면 과사용으로 인한 가능성이 높아 무리한 운동 보다는 온찜질 및 물리치료를 우선적으로 시행하신 후 통증이 어느정도 호전된 후 웨이트를 시작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질환마다 운동이 도움이 되는 경우가 있고 오히려 해가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는게 중요합니다.

    김종국의 경우에 허리디스크탈출이 있었던 사람이고 transverse abdominis, multifidus같은 복근과 허리근육을 강화시킴으로써 척추에 안정성을 줘서 질환에 도움이 되었던 케이스입니다. 물론 이 운동도 통증이 있는 상태에서 해야되는건 아니고 통증이 잦아든 후에 해줘야하는 운동입니다.

    어머님같은 경우는 우선 손가락이나 손목에 노동으로 인한 골관절염이 있는 상황일 수 있고 이 경우에는 관절에 부하를 주지 않는게 맞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운동을 하신다고 하더라도 손가락이나 손목에는 부하가 가지 않는 운동을 하시는게 맞겠습니다. 상지의 경우 맨손 운동을 해주시고 하체 근력운동을 해주시는게 방법이겠습니다.

    그리고 하나 일을 하시면서 목을 숙이고 일을 하실텐데 이로 인해서 목부터 어깨까지 근육통이나 디스크내장증으로 인한 통증이 많이 생길 수 있고 심하면 디스크가 탈출되면서 팔로 방사통이 생길 수 있습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건 어떤 운동을 해주는게 아니라 경추전만 자세를 취해주시는겁니다. 목 질환들은 대부분 목을 앞으로 숙이기 때문에 생기는 질환들로 내가 보는 물체들을 내 눈높이로 높여서 보는게 도움이 됩니다. 일을 하실때는 목굽힘을 줄이고 눈을 내리 깔아서 보시는게 도움이 되겠습니다.

    아래 영상의 동작은 목디스크질환 이외에도 대부분의 목질환들에 적용할 수 있는 동작이니 따라해주시면 도움이 되겠습니다.


  • 과도한 신체의 사용으로 인해서 생기는 증상이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운동은 하지 않는 쪽이 더 바람직해 보입니다. 운동을 한다고 하여서 무조건 문제가 된다고는 할 수 없겠지만 특정한 운동을 추천드리기는 어렵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근력 운동은 관절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기저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손가락 통증과 저림증은 수근관 증후군이나 경추 신경근병증 등을 시사할 수 있고, 어깨와 팔의 통증은 회전근개 질환이나 근막 통증 증후군 등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하지정맥류 역시 다리에 부담을 주는 운동은 피하는 것이 좋겠죠.

    이런 경우 저중량 고반복 운동이 관절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줄이면서 근력 강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적절한 선택으로 보입니다. 다만 통증이 있는 부위는 운동 강도를 더욱 조절하고, 관절 가동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웨이트 운동 외에도 저강도 유산소 운동, 스트레칭, 아쿠아로빅 등을 병행하는 것이 도움될 수 있습니다. 특히 수중 운동은 관절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면서 전신 근력 강화와 심폐 기능 향상에 효과적이에요.

    무엇보다 운동 전 정형외과 또는 재활의학과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어머니의 건강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적합한 운동 처방을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의사 선생님께서 어머니에게 맞는 운동 종류와 강도, 주의 사항 등을 안내해 주실 거예요.

    엄마와 함께 운동하면서 건강도 챙기고 좋은 추억도 쌓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