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훈훈한두꺼비124
훈훈한두꺼비124

미국에서의 셧다운은 어떤 상황을 의미하나요?

최근 미국에서 셧다운이 종료되었는데 후폭풍으로 물가가 가파르게 오를 거란 예측이 나온다는 기사를 봤는데요, 미국에서의 셧다운이란 어떤 상황을 의미하나요?

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미국의 내년도 예산안이 통과되지 못하여서 집행이 불가능해졌고 돈이 집행이 안되다 보니 미국의 행정부가 멈추게 된 것입니다

    • 돈이 있어야 국가가 돌아가는데 이를 배정하는 예산안이 국회를 통과하지 못했고 미국이 멈추게 된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연방정부가 예산 승인을 제때 받지 못해서 정부 기능의 일부가 멈추는 현상을 말합니다.

    미국 의회가 새해 예산안이나 임시 지출안을 통과시키지 못하면 연방정부가 법적으로 돈을 쓸 수가 없고 그렇게 되면 연방정부의 많은 부처가 문을 닫거나 최소 인력만 유지하면서 필수 업무만 수행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에서 셧다운은 의회가 연방정부 예산안을 제때 통과시키지 못해 정부의 비필수 업무가 일시 중단되고 공무원들이 무급 휴직에 들어가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셧다운이 장기화되면 정부 서비스 중단과 경제 위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행정부가 최소한의 사회유지 서비스를 제외한 모든 업무를 멈추는 상황을 셧다운이라고 합니다.

    미국은 회계연도 시작이 10월 1일인데 이때까지 다음년도 예산안이 타결되지 못하면 공무원 무급 휴직과 함께 전반적인 사회기능이 멈추게 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의회 예산안 통과 실패로 연방정부 기능이 일시 중단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행정, 항공, 복지 운영에 차질이생기며 경제 불확실성이 증가합니다.

    종료 이후에는 누적 업무, 지연 처리로 인한 물가 상승 우려가 제기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에서의 셧다운에 대한 내용입니다.

    미국에서 셧다운이란 미국의 그 다음 해 예산안을 놓고

    민주당과 공화당이 합의에 이르지 못한 상황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셧다운이라는 말은 우선 비유적인 말로 컴퓨터나 서버를 종료할때 쓰이는 말을 셧다운 이라는 말로서 사용했었습니다 그런데 정부의 예산 집행과정에서 이런 말을 행태를 빌어서 셧다운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게 된것입니다.

    구체적으로 미국은 매월 10월이 되면 정부예산의 초기화가 되어서 올해 집행될 예산에 대해서 의회통과가 필요합니다. 이때 상원과 하원에서 예산집행안에 대해서 통과가 필요한데 그동안 10월초에 상원과 하원에서 둘다 거부를 하면서 예산이 집행이 안되면서 정부 의 재정집행이 아예 이루어지지 않은 마비사태가 발생되었으며 이를 두고 셧다운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게 된것입니다. 즉 미국정부의 예산집행이 되지 않는 상황을 말하며 이때는 공무원 연금도 집행이 되지 않으면서 월급도 나오지 않게 되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셧다운은 의회가 연방정부의 예산과 운영 자금을 법정 기한(9월 30일)까지 승인하지 못해

    정부 기능이 중단·축소되는 상황입니다.

    2025년 10월 1일부터 11월 12일까지 43일간 역대 최장 셧다운이 진행되었습니다. 현재는 정상화 중....

    셧다운이 되면 비필수 연방 공무원은 무급휴직되고, 필수직은 월급 없이 근무해야 합니다.

    국립공원·박물관은 폐쇄하고 식품검사·재난구호가 지연되며 중소기업 대출·허가업무 중단 등 국민 서비스가 대폭 축소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지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셧다운은 의회가 연방 정부 예싼안 통과에 실패하여 정부 운영에 필요한 자금이 고갈될 때 발생하는 정부 기능의 일시적 정지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로 인해 연방 기관의 업무가 중단되고 다수의 공무원이 무급 휴직에 들어가며 항공 관제 등 필수 서비스에도 부분적인 차질이 생기면서 경제 성장률 하락 및 금융시장 불확실성을 야기했습니다. 셧다운이 종료되면서 밀렸던 정부 지출이 한꺼번에 풀려 단기적인 수요 증가를 일으킬 수 있으며 이것이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예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민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행정부와 연준이 다르게 운영됩니다

    따라서 연방정부의 예산안이 의회에서 통과되지않는다면 필수적인 정부기능들이 일부적으로 멈추는 것을 뜻합니다 

    예산안이 정치적 갈등으러 통과되지않아 

    해당기관들이 예산을 집행할 법적근거들이 없어지고

    이로인해 업무들이 중지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정부의 셧다운 이란 의회가 새로운 회계연도 시작일인 10월 1일 전까지 정부 운영에 필요한 예산안이나 임시 지출법안을 제때 통과시키지 못해 연방 정부의 자금 공급이 중단되는 상황을 말합니다. 이로 인해 국방, 공공 안전 등 필수적인 기능을 제외한 대부분의 정부 기관이 일시적으로 업무를 중단하고, 연방 공무원들은 무급 휴가에 들어가거나 비필수 업무를 정지하게 되어 국가 행정 기능에 혼란이 초래됩니다.

  • 안녕하세요. 장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셧다운은 의회가 연방정부 예산안 처리에 실패하여 필수 업무를 제외한 정부 기능이 일시적으로 정지되는 상황을 뜻해요.

    이는 주로 여야 간의 정치적 대립으로 발생하며, 연방 공무원들이 무급 휴직에 들어가고 대국민 서비스가 중단되는 등 광범위한 경제적 피해를 초래합니다.

    최근 셧다운이 종료되면서, 억눌렸던 수요가 분출하고 무급 공무원들에게 밀린 급여가 한 번에 풀리면서 단기적으로 물가가 가파르게 상승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어요.

    이러한 상황은 셧다운 후폭풍으로 인한 일시적인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셧다운은 정부가 예산이 부족해 운영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상황인데요. 미국은 매년 의회에서 연방정부 예산안을 통과시켜야 하는데, 정치적인 이유로 여야가 합의에 이르지 못해 예산안이 부결되면 정부가 돈 없이 운영될 수 없어 부분적으로 업무를 중단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일부 공공기관이 문을 닫고, 공무원들은 무급 휴직에 들어가며, 국립공원 같은 공공 시설도 일시적으로 폐쇄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