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충 5일정도 전에 키우는 강아지한테 물렸어요
물리고 이제 딱지 생기는중인데 원래 이런 색이 맞나요?
상처 주변도 계속 빨간색이에요
손가락 관절이라 계속 접혀서 그런걸까요?
물린 즉시 지혈하고 마데카솔 발랐습니다
누르면 약간 통증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상처부위가 회복되는과정에서 딱지가 생기고 색이변하는것은 정상적인 증상입니다 또 상처부위주변이 붉은색인 건 염증반응으로 인한증상일수있는데 특히 손가락관절은 다른 부위보다 움직임이 많은 관절이기 때문에 자극을 많이받으면서 염증이 더 심해질수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이 호전되지않고 지속되거나 점점더 심해진다면 병원에서 검사를받아보시고 적절한 치료를받으시는게 도움이될수있습니다
빨리 몸이 호전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강아지에게 물린 상처가 딱지가 생기고 주변 빨갛다면 염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손가락 관절 부위는 자주 움직이기 때문에 붓거나 통증이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마데카솔을 바른 것은 좋지만 통증이나 염증이 지속되면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처가 악화되거나 고름이 생기면 즉시 병원에 가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일단 사진상으로는 정확한 상태를 알 수는 없지만, 물린 부위는 처음에는 붉고 부풀어 오르며, 시간이 지나면서 딱지가 생기고 색이 변할 수 있습니다. 딱지가 생기는 과정에서 갈색이나 검은색으로 변하는 것은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상처 주변이 계속해서 붉은색을 띠고 있다면 염증이 있을 수 있고, 상처 주변이 붉은색인 것은 염증 반응의 일환일 수 있습니다. 이는 상처가 감염되었거나, 상처가 치유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손가락 관절과 같이 자주 움직이는 부위에서는 염증이 더 두드러질 수 있습니다.
또한 누를 때 약간의 통증이 느껴지는 것은 상처가 치유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일반적인 증상입니다. 그러나 통증이 심해지거나, 붉은색이 확산되거나, 고름이 생기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면 감염의 가능성이 존재하며 이럴 경우 가까운 병원에 방문하시어 정확한 상태 검사 받아보시고 상태에 맞는 치료 및 처치등을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염증이 진행 중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손가락 관절 부위라면 움직임이 많아 치유가 느려질 수 있지만, 붉은 기운이 심해지거나 부어오르고 통증이 지속되거나 악화된다면 감염 가능성이 있으므로 병원에 가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고름이 차거나 열이 나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소독과 항생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키우던 강아지시라 강아지 예방접종 상태에 대해 잘 아실 확률이 크지만 만에 하나 입양한지 얼마 안됐거나 예방접종이 잘 안되어있을수 있어 말씀드립니다. 강아지에게 물렸을 경우 파상풍 예방접종 여부도 확인하는 것이 좋으며, 광견병 위험이 있는 경우 추가적인 검진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현재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면서, 필요하면 의료기관에서 소독 및 항생제 처방을 받으세요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상처 회복이 되고있는 것으로 생각되는데요, 지혈 흐 소독하셨다면 크게 문제가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상처회복과정에서 염증반응과 통증이 발생할 수 있지만, 자연스러운 회복과정으로 생각됩니다.
물린 부위가 손 관절인 경우에는 다른 곳 보다 통증이 민감하거나 불편감을 더 느끼실 수 있습니다. 불편감이 일주일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는 병원에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이호 의사입니다.
강아지에게 물린 상처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물린 부위에 딱지가 생기고 주변이 빨갛다면,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상처가 붉고 통증이 있는 경우, 감염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강아지의 이빨이나 침에 있는 세균이 상처를 통해 침투할 수 있습니다.
물린 즉시 지혈하고 마데카솔을 바른 것은 좋은 조치입니다. 하지만 상처가 계속 아프거나 붉어지면 추가적인 관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손가락 관절 부위는 자주 움직이기 때문에 상처가 더 자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염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상처가 좋아지지 않거나 통증이 심해진다면, 반드시 의사와 상담하여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필요할 경우 항생제 처방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