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
단체교섭, 임금교섭 교섭대표노조와 단체협약 관련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단체교섭을 준비하는 중에 궁금한 부분이 있어 문의 올립니다.저희 회사는 2개 노조가 있어 단체교섭 또는 임금교섭 시 관련법에 따라 창구 단일화 절차를 마친 후 교섭대표노조와 교섭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회사 사정상 임금협약은 연 중반에(전년도 체결일: 2022.6.30.), 단체협약은 연말에(직전 단체협약 체결일: 2020.12.31.) 별도로 교섭하여 체결하고 있습니다.
작년 임금교섭 진행 전 창구단일화 절차를 거쳐 교섭대표노조를 확정(2022.3.10.)하였고, 임금협약을 체결(2022.6.30.)하였습니다. 그리고 현재 2020.12.31.에 체결한 단체협약이 만료됨에 따라 교섭을 준비중에 있습니다.
위와 같은 상황에서 질문드립니다.
1. 작년 임금교섭 전 확정된 교섭대표노조의 지위를 작년 임금협약 체결일로부터 2년으로 보고 별도의 교섭창구단일화를 거치지 않고, 해당 노조와 단체교섭을 진행해도 문제가 없을지요?
2. 2020.12.31.에 체결한 단체협약의 유효기간은 2년입니다. 협약의 효력 관련해서는 단체협약 부칙에 "협약 유효기간이 만료되어 협약을 변경하기 위한 단체교섭을 하였음에도 새로운 협약이 체결되지 아니한 때에는 종전의 협약은 새로운 협약이 체결될 때 까지 유효하다."라는 조항이 있습니다.
현재 노사 사정에 의해 만료일이 수개월 지난 시점이지만 상견례만 하고 본교섭을 진행하고 있지 못하는 상황인데, 단체협약을 다시 체결해야하는 법적 기한이 있을지요?
전문가님들의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