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오늘도 행복하세요
오늘도 행복하세요24.02.04

DSR 40%는 언제 생겨난것인가요?

대출을 실행 시 DSR을 본다고 하는데요. 이로 인해서 대출심사가 까다로운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DSR의 뜻과 DSR이 언제부터 생겨나서 적용이 된 것인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DSR 규제는 대출받은 사람이 한 해 갚아야 하는 원리금 상환액을 연소득으로 나눈 값이다. 현재 은행 대출에는 40%, 비은행 대출에 50%의 규제가 적용되고 있다.


  •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은 모든 신용대출 원리금을 포함한 총 대출 상환액이 연간 소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으로, 대출 상환 능력을 심사하기 위해 금융위원회가 2016년 마련한 대출심사 지표입니다. 주택담보대출 이외에 금융권에서의 대출 정보를 합산하여 계산하며, DSR을 도입하면 연소득은 그대로인 상태에서 금융부채가 커지기 때문에 대출 한도가 대폭 축소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DSR의 뜻은 Debt Service Ratio의 약자로, 총부채상환원리금상환 비율을 의미합니다.

    DSR은 1년간 버는 소득에 비해 빚을 갚는 상환액이 얼만큼인지를 나타냅니다.

    우리나라 DSR 규제는 2019년 12월 도입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DSR 40%에 대한 룰은 과거 문재인 정부에서 시행한 것으로서 문재인 정부가 주택 가격을 잡기 위해서 시행한 제도에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21년도에 높아지는 주택 가격을 잡기 위하여 도입되었습니다.

    • 그 후 개정을 통하여 현재는 스트레스 DSR도입까지 생겼으며 이는 전보다

      더욱 대출을 받기 어려워진 제도라고 보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021년 이전에도 DSR 제도가 있었으나

    2021년 정부는 기존에 유명무실 했던 DSR의 적용범위를 늘렸으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철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제가 찾은 자료상 우리나라 DSR 제도는 2019년 12월 17일에 도입되었습니다. DSR 제도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의 약자로, 대출자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을 연소득으로 나눈 비율을 의미합니다. DSR 제도는 대출자의 상환 능력을 고려하여 대출을 제한하는 정책으로,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DSR이 40%를 넘으면 대출이 제한됩니다. DSR 제도는 주택 시장의 안정을 위해 도입되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DSR자체는 2017년 정부 가계부채관리방운에서부터 등장합니다. 근데 이걸 40%로 한다는 것은 2022년 1월부터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DSR은 부채상환비율을 의미합니다. 이것은 대출 심사에서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그리고 DSR은 대출금 상환에 필요한 수입 대비 부채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또한 DSR은 은행이 대출 신청자의 상환 능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DSR 40% 규제가 도입된 시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시중은행들은 지난 2021년 7월 1일부터 DSR 40% 구제를 도입하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