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

실업급여 단기계약직 근로계약서 질문

안녕하세요? 전 이전 직장 2년을 다닌 후 자진퇴사 후

실업급여를 위해 1월1일~1월31일 단기 근무이며

오늘 처음으로 일했습니다 다만 오늘이 바빠서인지 근로계약서를 안썻는데 혹시 내일 1월3일 날짜에 작성하고 내용에 1월1일~1월31일로 계약서상에 명시되어있으면 추후 이직확인서 제출등 문제는없을까요?

너무 늦게써서 문의드림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호병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드립니다.

    사례의 경우처럼 늦게 근로계약서를 작성했어도 실업급여 수급자격이 부여됩니다.

    • 답변이 마음에 들었다면?
  •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네 뒤늦게 작성하더라도 실제 계약기간에 맞게 1월 1일부터 31일로 계약서를 작성하고 계약만료로 퇴사한다면 실업급여를 신청하는데

    있어 문제되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네,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고 해당 계약기간 동안 근무 후 계약기간 만료로 이직하면 구직급여 수급자격이 인정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백승재 노무사입니다.

    네. 상관은 없습니다.

    늦게 작성하더라도 실제 입사일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빨리 작성하자고 요구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근로계약서를 고용보험에 제출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근로계약서 자체가 중요한 건 아닙니다. 고용보험 신고만 잘하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대진 노무사입니다.

    1월 3일 날짜에 작성하고 내용에 1월 1일~1월3 1일로 계약서상에 명시되어 있으면 추후 이직확인서 제출 등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휴대폰으로 QR을 찍으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