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전세계약한 금액과 공동주택 가격 기준
22년에 전세 4억 8천만 원으로 전세 계약을 했는데
한국 부동산원에 공동주택가격 열람으로 조회하니
같은 집이 3억 3천만 원으로 되어있는데
공동주택가격은 무엇이고 공동주택가격과 실 전세계약 금액이 1억 5천만 원까지 차이가 날 수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혹시 공동주택에서 공시가격을 열람하신거 아닌가요
공시가격은 실가보다 훨씬 낮습니다
전세가격을 알아보시려면 전세가를 열람해보시기 바랍니다
전세가격은 서로 다를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행정사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겟습니다.
22년에 전세 4억 8천만 원으로 전세 계약을 했는데
한국 부동산원에 공동주택가격 열람으로 조회하니
같은 집이 3억 3천만 원으로 되어있는데
공동주택가격은 무엇이고 공동주택가격과 실 전세계약 금액이 1억 5천만 원까지 차이가 날 수 있는건가요?
==> 전세가격 차이는 오래된 아파트, 또는 주택임대사업자가 보유한 아파트인 경우 일반 아파트와 비교시 전세보증금에 1~2억 차이가 발생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22년 경에는 전세가격이 최고로 높을 때이고 주임사 아파트인 경우 사업기간 중 보증금을 5% 범위 내에서만 인상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이강애 공인중개사입니다.
공동주택가격과 실거래가액은 차이가 있고 전세임대는 지역에 따라 실거래액의 40~70%까지도 거래가 되고 있습니다. 2022년도 공동주택 공시가격보다 2023년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하락 했습니다.
실거래가액은 3억 3천보다는 높게 거래 거래가 되고 있을 겁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한국부동산원은 세금을 내기위한 기준 가격을 산정한다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시가를 보셔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공동주택가격이란
국토 교통부 장관이 공동 주택에 대하여 매년 공시 기준일 현재의 적정 가격을 조사하고 산정하여 공시하는 가격. 공동 주택 중 아파트, 연립 주택, 다세대 주택에 대하여 조사하여 산정합니다. 시세보다는 낮게 나오는게 현실이지만 보통 시세대비 80%정도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