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의 감정표현이 다양해 지는데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까요 ?
23개월 여아를 키우고 있습니다.
아주 어릴때의 감정표현이 단순히 우는 것이였다면
커가면서 여러가지 감정표현을 할줄 알아 큰 기쁨입니다.
다만, 화내거나 짜증내고나 삐지는 등 여러가지 감정표현을 할때는 약간 폭력적인 모습도 보여 걱정되기도 합니다.
무언가를 하자고 할때 싫으면 소리를 지르며 화를 내기도 하는데 얼굴을 할퀴거나 때리려고도 하는데, 어떤식으로 달래면서 교육해야할지 고민인 경우가 많습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갖가지 표현마다 각기 다른 반응을 보이시기보다는
단호하고 일관된 표현을 사용하셔서
아이에게 훈육을 하시는 것이 줗을 것 같습니자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무조건 안돼! 보다는 아이를 감정적으로 소통할 필요가 있습니다
감정표현이 다양해지고 여러가지 행동을 한다면 왜 그런행동을 하는지를 살피실 필요가 있고 해당되는 이유가 있다면 그 이유를 해결하기위해 도와줄 필요도 있습니다
무조건 오냐오냐 하는 것도 안좋다만 무조건 혼내는 것도 좋지 않기때문에 아이와의 소통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아직 감정적으로 표현하는것에 익숙하여 신체적인 동작이 나올수있습니다
이럴땐 아이에게 적절하게 대처할만한 방안을 알려주는것이 좋으며 할퀴거나 때리려는것은 안되고 나쁜것이라고 알려주는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우선 아이의 화가 가라앉도록 기다려주세요. 아이가 격양되었던 감정을 가라앉힐 수 있도록 시간을 주고 기다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부모가 느끼기에 이 정도면 가라앉았겠지 해도 아이의 입장에서는 아직 때가 아닐 수도 있으니, 충분하게 기다려주고 아이에게 개입해야 하는 때를 신중히 고려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화내거나 짜증내는 감정 또한 존중해 줄 필요는 있습니다.
다만, 무작정 떼를 쓰면서 소리 지르고, 누군가를 때리는 행동은 교정이 필요합니다.
아이에게 잘못된 행동임을 인지 시키고,
부드러운 어조를 사용하되 단호하게 안 된다는 것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미숙함을 인정해야합니다.
그래서 아이 훈육시 반듯이 제지할 일인지 한번 더 확인하고
제지하여야 할 일이라면 꼭 제지하고 그 행동을 하지 않게끔
확실하고 단호하게 설명해주세요. 아직 아이가 어리기 때문에 충분히 할 수 있는 행동들은
굳이 훈육이 필요하지 않을수 있습니다. 다만 훈육이 필요한 부분에 대하여는 훈육한 이유에 대하여는 따뜻한
말투로 설명해주신다면 아이가 부모의 훈육에 대하여 이해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화를 내거나 그러한 것은 이해를 하지만
폭력적인 행동을 하거나 지나치게 공격적인 행동을 할 때에는
이에 대한 제지가 필요합니다.
아이에게 이러한 행동을 하지 못하도록 교육하셔야 하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점 점 자라면서, 활동량도 많아지고, 활동범위도 넓어지면서, 나름 스트레스를 받을 것입니다.
누구보다도 지금 힘든건 아이일 것입니다
내 말을 못 알아주고 잘못 알아주고 내가 원하는 건 되지도 않으니 스트레스가 극에 달할 수 있어요
이 시기에 다양한 언어를 습득함으로써 울음은 다소 감소하고 말이나 행동으로 감정을 표현할 것입ㄴ다.
그래서 자신들 말이 다 맞고 엄마 아빠 말은 틀리다고 생각할 수 있어요
아이가 흥분했을 때 혼내거나 잔소리 하는 건 아무 소용이 없어요
엄마의 설명과 잔소리가 아이 귀에 들어올 리 없답니다.
그러니 아이가 흥분하거나 화를 낼 땐 우선 아이에게 시간을 줘야 합니다
우리 ㅇㅇ가 몹시 화가 났구나! 라며 감정에 이름을 붙여주는 것 만으로도 아이의 감정은 많이 가라 앉습니다.
아이를 꼭 안아주거나 몸을 쓰다듬는 스킨십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양해욱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23개월이면 아이에게 제대로 된 훈육이 필요합니다. 훈육은 아이를 혼내는 것이 아닙니다. 아이에게 옳고 그름을 올바르게 알려주는 것입니다. 아이의 세계라고 해서 올바르지 않은 행동이 바른행동이 되지는 않습니다.지금 아이가 하는 행동이 아이가 겪고있는 상황을 제대로 인지하고 하는 행동인지 관찰하면서 그 상황에 맞는 행동과 언어 사용법을 알려 주셔야합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이런 행동은 하지 않아야 하는 이유도 반복해서 설명해 주어야합니다. 예를 들어 /지금은 우는 것이 아니야. 이건 내꺼야~라고 말하는 거야/ 이런식으로 올바른 상황방법을 하나하나 알려주여야합니다. 지금 언급하신 아이의 행동은 아이가 스스로 체득한 방법으로 어른에게서 빠른 반응을 받았던 행동인 것 같습니다. 지금 옳고 그름을 제대로 알려주어야 아이의 가치관이 바르게 자라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조계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우는거뿐만아니라 짜증내거나 웃거나 화내거나 삐지거나 다양한 감정표현을 드러내는건 자연스러운겁니다. 이럴때는 당황하지마시고 아이에게 정확하게 말을 해줍니다. 부모는 아이의 가장 좋은 감정 표현 교과서입니다. 감정 표현이 서툰 아이를 보면 부모도 감정 표현이 서툰 경우가 많아요. 많은 부모는 부정적 감정을 표현하는 게 예의 없는 행동이라 생각하고 긍정적인 감정을 주로 표현해요. 물론 긍정 정서를 아이가 더 많이 경험하면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할 때 부모가 거부하는 것은 아이를 더 괴롭게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이에게 부정적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꼭 나쁜 것은 아니란 것을 알려주고 자신의 감정을 제대로 인식하고 올바르게 잘 다룰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