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데헌에대해서 요즘 정말 자낭스러운데..
요즈음 국내의 혼란스런 정서보다는 우리나라 문화적인부분이 해외에시 너무나도 신드롬을 일으키고 있어서 자낭스럽기도합니다.
여기에 처음부터 시발점이된 작품은 어떤것이 있나요?
앞으로 계속 우리나라 케이컬처가 세계속에서 단연코 앞장서서 이끌어나가기를 바랍니다.
정치보다 문솨가 앞서가고 있는데 정지인들도 배워야겠지요?~~
자랑스러움에 질문아닌 질문을 했네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문화의 세계적 확산은 세대를 거쳐 이어진 흐름의 결과입니다. 1세대 아이돌인 H.O.T와 BoA가 아시아 시장에서 기반을 닦았고 원더걸스의 'Nobody'와 소녀시대의 'Gee'가 K-POP을 글로벌로 확산시키는 발판이 되었습니다. 이어 2012년 싸이의 '강남스타일'이 전 셰계적인 신드롬을 일으켜 K-POP을 세계 대중문화에 각인시켜씁니다. 이후 BTS와 블랙핑크가 세계 무대에서 주류 음악시장에 진입하며 확산을 더욱 가속화 했습니다. 그리고 드라마에서도 '겨울연가', '별에서 온 그대' 같은 드라마와 '기생충', '오징어 게임' 같은 영화, 드라마가 더해져, 우리 문화는 단순한 유행을 넘어 작품성과 예술성까지 인정받게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수입니다.
한류 문화(K-culture)의 시발점을 묻는 질문으로 이해하고 말씀드리겠습니다.
대표적으로 1996-1997년에 방영된 '첫사랑'이라는 드라마는, 한류 초기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인기를 끌었고 한국 드라마와 문화에 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이후, 2002-2004년, 일본에서 '겨울연가'라는 작품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는데, 이때 '한류'라는 이름이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당시 일본에서는 '욘사마(배용준)' 신드롬이 나타날 정도로 크게 화제가 되었고, 이후 한국 문화가 전 세계로 퍼지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2010년대에는 싸이의 '강남스타일'과 BTS로대표되는 K-pop이 전 세계로 한류의 범위를 확장시켰습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맞습니다. 케이팝데몬 헌터즈 Kpop Demon Hunters의 장점이라고 한다면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다...라는 것을 몸소 실현한 애니 작품이라는 것입니다...
갓울 쓰고 나오는 적으로 설정된 캐릭터라든지 김밥과 컵라면... 그리고 남산타워의 멋진 장면 등이 그러한 점을 잘보여줍니다...
케데헌의 시발점이라고 딱히 어떤 작품을 찾기보다는 디즈니의 작품들이라던지 각종 케이팝 그룹의 뮤직비디오 등에서 모티브를 많이 받아 제작된 작품이라고 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