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의 임대료와 매매차익은 반비례하나요?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임대수익이 높을수록 매매차익이 엄청커지기는 어렵다던데요, 반비례에 가까울만큼 보편적인 현상인건가요?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맞습니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임대수익이 높을수록 매매차익과 반비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부동산 시장에서 발생하는 보편적인 현성으로 경제학적으로도 자주 언급됩니다.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수익성과 자산가치의 관계에서 비롯된 현상이라고 생각합니다.
건축물의 임대수익률이 높다는 것은 즉 그 건물이 수익 창출 능력이 뛰어나거나 임대 시장에서 인기가 있다는 의미지만
이와 같은 건축물의 가격은 대게 시장에서 고평가 될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높은 임대수익을 안정적은 수익원으로 선호할 수 있지만 자산 가치 상승을 기대하는 경우에는 좀 더 리스크가 큰 투자처를 찾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지방의 소형 오피스텔 이나 빌라의 경우 임대료 대비 건물의 매매가격이 낮으므로 임대수익률이 높아지지만, 매매가 상승 여력은 상대적으로 제한적일 수 있다고 보여지고, 반대로 고급 아파트나 신축 아파트의 경우 자산 가치 상승 기대가 높은 부동산일수록 매매가격이 이미 높기 때문에 임대수익률은 낮아질 수 있지만, 지역 개발 호재나 시장 수요로 인해 자산 가치가 크게 오를 가능성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임대수익이 높을수록 매매차익이 엄청커지기는 어렵다던데요, 반비례에 가까울만큼 보편적인 현상인건가요?
==> 그렇지 않습니다. 매매가격이 높을수록 임대료도 점차 증대되는 비례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고 반비례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
임대수익이 높으면, 수익률도 같이 올라가고
수익률이 올라가면, 적정 수익률로 맞춰지니 매매가도 같이 올라갑니다.
반비례가 아닌 정비례로 이해하셔야 합니다.
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일반적으로는 수익성 부동산은 임대를 하여 월세를 받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므로 매매 차익에 크게 중점을 두지 않으므로 차익이 크지 않은 경우도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는데, 예를 들어 소형아파트 같은 경우에는 월세도 올라가지만 실 수요가 많아져서 집값도 상승하고 있어서 대형 아파트에 비해 인기가 높은 경우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임대수익이 높을수록 이미 매매가에 많이 반영되있는것이지 반비례의 논리와는 맞지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