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관세 전쟁을 하게 되면 우리나라도 피해가 올까요?
현재 미국에서 관세전쟁을 시작하는 것 같은데요.
그렇게 되면 우리나라는 어떤 피해를 받게 될지 궁금합니다.
관세 전쟁으로 어떤 피해가 올까요?
그리고 우리나라에게도 많은 관세를 부과하게 될지 궁금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방법은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관세부과에서 차순위로 빠져있기에 유예를 받은 상태입니다. 다만, 타국가에 관세를 부과하는 경우 이에 따라서 우리나라의 수출의 제한이 있을 수 있으며, 해당 국가들의 경기침체는 우리나라의 기업들에게 타격을 입힐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정적인 영향이 예상되며, 현재로서는 미국과의 협상을 잘 함으로서 우리나라는 가능하면 관세 부과 대상에서 피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미국의 관세부과로 인하여 보복관세 조치가 있는 등의 무역 전쟁이 시작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나라는 현재 관세부과 조치 대상은 아니나 우리나라도 곧 관세부과 조치가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미국의 관세부과 조치 시 우리나라 산업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됩니다.
우선 자동차 산업에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자동차의 관세부과 조치 시 현대자동차 등의 기업이 영향을 받게 됩니다. 현대자동차는 관세부과 조치 등의 대비하기 위해 미국 내 공장을 건설 중에 있습니다. 또한 미국은 우리나라의 반도체와 철강에 대한 관세부과 조치를 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반도체의 경우에는 우리나라 기업의 중국공장도 있으므로 미중 무역분쟁의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철강은 2018년도에도 관세부과 조치가 있었으므로 이번에도 관세부과 조치 시 철강산업에 피해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미국의 관세부과 조치 시 우리나라의 대응 전략
이미 관세부과 조치가 되고 있으므로 우리나라의 수출품에도 관세부과 조치는 시간 문제라고 전망됩니다. 미국은 우리나라에도 주요 수출국인만큼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보입니다. 피해를 최소화 하려면 수출시장 다변화가 필요합니다. 미국 시장 외에 유럽이나 동남아, 중동 등의 수출시장 다변화에 성공한다면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국내 산업 경쟁력 강화입니다. 우리나라 주요 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기술의 자립도를 높이는 방법이 있습니다. 쉽게 이룰 수 있는 것은 아니나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산업의 경쟁력 확보는 매우 중요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미국의 관세 전쟁은 우리나라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의 주요 수출품인 반도체, 철강, 알루미늄 등에 대해 추가 관세를 부과할 계획을 밝혔습니다. 특히 지난해 한국의 대미 무역수지 흑자가 최대를 기록했고, 미국이 무역 적자를 본 국가 중 8위에 올라 있어 관세 부과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관세 부과로 인한 피해는 다방면에서 예상됩니다. 현지에 공장을 둔 전기차, 배터리, 가전 기업들이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것이며, 대미 수출도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입니다. 일부 예측에 따르면 10%의 보편 관세가 부과될 경우 우리나라의 대미 수출이 연간 55억 달러, 약 8.4%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는 통상대책회의를 열어 대책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장기적으로는 보호무역 기조 강화에 대비한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미국과의 직접적인 대화 채널을 확보하고, 우리 기업들의 경쟁력 강화와 수출 다변화 등을 통해 관세 전쟁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현재 미국의 관세부과정책은 멕시코 미국 중국이지만 향후 상황에 따라 더 추가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 간접영향권일 것으로 생각되나 현재 우리나라의 많은 기업들이 멕시코에 진출해있는 등 미국시장을 위한 투자가 이루어진 기업들은 직접적인 타격이 우려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