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그윽한콜리168
그윽한콜리16821.04.29

골다공증 검사는 어떻게 하게 되나요?

할머니가 골다공증이 심한데.

한동안 검사를 안받으신거 같더라고요

이런 경우라면 어느 병원을 가는 것이 좋나요

어떻게 검사를 하고 검사는 힘들지 않은지요?

골다공증은 어떤 검사로 확인하게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성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골다공증의 진단에서는 골절 위험도를 동시에 평가해야 합니다. 골다공증의 진단에는 현재까지는 골밀도 검사가 가장 필수적이고 중요하지만, 이차성 골다공증의 가능성이 의심될 경우에는 이를 찾기 위한 검사도 필요합니다. 뼈의 건강한 대사 상태를 간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생화학적 골-표지자를 측정함으로써 뼈의 교체율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정형외과진료권유드리고 검사가 힘들지는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현호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골다공증은 뼈의 밀도가 줄어들고 질이 나빠지면서 골절의 위험성이 증가하게 되는 질환입니다.

    골다공증 검사는 척추뼈와 고관절뼈를 x-ray로 촬영하여 검사하며, 동일 연령대와 젊은 연령대의 평균적인 골밀도와 비교하여 현재 골밀도를 상대적으로 평가합니다. 검사에는 통증이 없으며, 검사 시간도 길지 않아 어렵지 않게 받으실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골밀도는 20대 중반에서 30대 초반에 최대에 도달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감소합니다.

    특히 여성의 경우 폐경 후 골량이 급속히 소실되어 골다공증이나 골절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골다공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영양소 섭취와 꾸준한 운동이 필요합니다.

    1) 충분한 영양소 섭취 : 칼슘, 비타민 D

    뼈의 밀도를 높이는 데 도움을 주는 영양소는 칼슘과 비타민 D가 있습니다.

    칼슘이 풍부한 음식은 우유 및 유제품, 멸치와 같이 뼈째 먹는 생선 등이 있으며, 흡수량을 감안했을 때 정제된 영양제보다는 자연식품으로 드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비타민 D는 연어, 고등어에 많으며 충분히 햇빛을 쬐어 비타민 D를 보충하거나 정제약을 드실 수 있습니다.

    2) 꾸준한 운동 : 체중이 실리는 운동

    골다공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중력에 저항하는 운동이 도움이 되고 걷기, 조깅, 등산, 테니스 등이 있습니다.

    수영과 같은 유산소 운동은 심폐기능을 좋게하고, 근력이나 균형감각을 향상시켜 낙상을 방지해 골절을 줄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3) 정기적인 검사

    마지막으로 골다공증은 특별한 증상이 없습니다. (관절통증은 골다공증에 의한 증상일 가능성은 낮으며 퇴행성 관절질환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정기적으로 골밀도 검사를 통해 골다공증 이환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며, 골절의 과거력이나 가족력이 있으신 경우, 장기간 스테로이드제를 복용하고 계신 경우에는 특히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인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엑스선을 이용해서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DEXA)라는 방식으로 촬영 하여 검사 합니다.

    척추뼈와 대퇴골의 밀도를 측정 하게 되며, 방사선 노출양도 적고 아주 쉽게 할 수 있는 검사입니다.

    최근에는 골다공증을 보는 의원 급에서도 장비를 갖춰두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권준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골다공증 검사는 엑스선을 이용해서 DEXA라는 촬영을 하여 측정합니다.

    척추체와 대퇴골을 찍어서 측정을 하고요.

    요즘은 일반 정형외과병원에서도 쉽게 측정이 가능하고, 그냥 가슴 엑스선 찍는 수준으로 생각 하셔도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골다공증의 진단에서는 골절 위험도를 동시에 평가해야 합니다. 골다공증의 진단에는 현재까지는 골밀도 검사가 가장 필수적이고 중요하지만, 이차성 골다공증의 가능성이 의심될 경우에는 이를 찾기 위한 검사도 필요합니다. 뼈의 건강한 대사 상태를 간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생화학적 골-표지자를 측정함으로써 뼈의 교체율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1. 골다공증 진료에 필요한 검사

    혈액검사(간기능검사, 신장기능 검사 포함)
    혈청 칼슘, 인, 알칼리성 인산분해 효소 측정(칼슘 및 인 대사 이상, 골연화증 감별)
    골절 의심 부위의 X-선 검사
    골밀도 검사
    생화학적 골 표지자 검사
    필요한 경우에 소변의 칼슘 배설량, 혈청 비타민D 농도 측정, 이차성 골다공증의 확인을 위한 검사(갑상선호르몬, 부갑상선호르몬, 성호르몬, 부신피질호르몬 등)

    2. 골밀도 측정

    세계보건기구의 정의에 근거하여 골밀도를 측정함으로써 골다공증을 진단하게 됩니다. 골밀도는 어떤 부위를 측정하더라도 골절의 위험을 예측하는 데 가치가 있지만 특정 부위를 측정하는 것은 그 부위의 골절을 가장 잘 예측할 수 있습니다. 즉, 대퇴골의 골절 위험은 대퇴골의 골밀도를 측정하여 가장 잘 예측할 수 있습니다. 임상에서 사용되는 골밀도 측정방법으로는 이중에너지 X-선 흡수계측법(DXA)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외에도 정량적 컴퓨터 단층촬영법(QCT), 초음파 등의 여러 방법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골다공증 검사는 근처 병원 또는 보건소에서도 가능합니다.

    전화해서 물어보면 안내 가능하며, 골다공증 수치 일 경우 약을 복용하여 치료를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송영기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골다공증 검사는 의심이 될 때 이중에너지 x선 흡수법으로 검사합니다.

    침습적이지 않은 안전한 검사고 5분정도 걸리는 간단한 검사입니다.

    골다공증 정도를 파악하며 약조절이 필요합니다. 병원을 내원하시는게 좋겠습니다

    도움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곽성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골다공증 검사중 가장 흔히 사용하는 검사방법은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법(DXA) 이라는 측정법인데, 검사 테이블에 누워 천장을 바라보는 자세를 유지하면 촬영장비가 이동하면서 검사가 진행되며 시간은 약 5분 정도 소요됩니다. 특별히 준비사항이나 주의사항은 필요치 않으며, 검사로 인해 특별히 힘든점도 없습니다. 흉부 X-ray 검사와 비슷하게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검진센터 혹은 건강검진이 가능한 병원이라면 보통 검사가 가능합니다. 검사를 원하신다면 가까운 검진 가능 의원을 검색하시어 해당 의원이 골밀도 검사가 가능한지 전화상으로 확인후 방문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도움이 되는 답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골다공증 검사는 아주 간단합니다. X-ray를 가지고 검사를 합니다. 물론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X-ray기계로 검사를 하는 것은 아닙니다. 골다공증이 심하시다면 약을 드시는 것이 꼭 필요합니다. 그러므로 가까운 내과나 정형외과, 신경외과 어디든 괜찮으니 가셔서 검사를 받고 약 처방도 받으시기를 권유드립니다.

    서민석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