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05

북한은 어떤 물품으로 어떤 나라들과 무역을 할까요?

물론 불법적인 무기수출은 제외하고 북한의 주력 상품들은 무엇이며 이걸 구매해주는 국가들은 어떤 국가들인지 궁금합니다. 북한 경제가 어렵긴 해도 쓰러지지 않고 계속 버티어 나가는 원동력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박재민 관세사blue-check
    박재민 관세사23.05.06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


    북한의 주력 수출 상품은 주로 무기 및 석유제품 등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또한 천연 광물 자원 매장량이 어느정도 있기에 광물류도 많이 수출하는 것으로 조사됩니다.

    주요 교역 상대는 바로 인접 국가이자 같은 공산당 체제인 중국입니다. 또한 공산 국가인 러시아, 이란, 시비아 등과도 광물 자원 및 무기 제품류들을 많이 교역하고 있습니다.

    북한이 계속적으로 버티어나가는 이유는 주변 국가, 주로 중국, 러시아, 이란 등과 계속적으로 무역 거래를 진행을 하고 있고 자국내 산업을 통하여 기술력 및 군사력 등을 발전시키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값싼 노동력을 통하여 생산성을 높여서 국가 경제에 이바지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답변 내용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박재민 관세사 드림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코트라에서는 매년 북한의 대외무역 동향에 대한 자료를 발표하는데, 가장 최신 자료(2021년 북한 대외무역동향)는 다음과 같습니다.

    □ (무역규모) 2021년 북한의 대외무역 규모는 전년대비 17.3% 감소한 7.1억 달러를 기록, 90년부터 조사 이래 최저치에 이름. UN 대북 제재, 2020년에 이어 2021년에도 지속된 코로나 19에 따른 국경봉쇄 등으로 수출은 전년대비 8.2% 감소한 8,20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수입도 18.4% 감소한 6.3억 달러를 기록, 무역수지는 5.5억 달러 적자로 전년도 6.8억 달러 적자 대비해 감소

    □ (주요 교역품목 동향) 2021년 최대 수출품목은 철강, 금속제품(HS 72-83)으로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8.5%(3,159만 달러)이며, 전년도 최대 수출품목인 광물성생산품(HS 25-27)은 22.2%(1,822만 달러) 차지. 2021년 최대 수입품목은 광물성생산품(HS 25-27)으로 전체 수입의 58.9%(3.7억 달러)임, 이어 화학공업제품(HS 28-38)이 13.5%(0.85억 달러) 차지

    □ (對중국 의존도 심화) 2021년 중국에 대한 의존도는 전년대비 상승한 95.6%로 2018년 역대 최고치였던 95.8%에 이어 두 번째 높은 수준을 기록, 코로나 19 발발 이전 2014년부터 2019년까지 6년 연속 90%대 유지, 對중국 수출은 5,800만 달러로 전년대비 21.1% 증가, 수입은 6.2억 달러로 전년대비 12.5% 감소

    □ (주요 교역국가) 2021년 중국을 선두로 베트남, 인도가 3대 교역국이며 태국, 홍콩, 방글라데시, 에티오피아, 모잠비크, 나이지리아, 탄자니아 順으로 10위권, 10대 교역국에 홍콩, 방글라데시, 에티오피아가 새롭게 진입

    □ (아시아 지역 편중) 2021년 10대 교역국 중 아시아 국가는 중국, 베트남, 인도, 태국, 홍콩, 방글라데시 총 6개국이며, 이들의 교역 비중은 전년도 91.5%에서 98.6%로 증가, 금액과 물량 면에서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는 중국의 영향으로 아시아 지역 편중 현상은 지속

    다음의 내용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https://kosis.kr/bukhan/extrlPblictn/selectExtrnlCmmrcTrend.do?menuId=M_03_02_05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북한의 경우 공산권 국가들과 교역을 하고 있으며, 주로 거래하는 상대는 중국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식량의 경우 가능한 자급자족을 하려고 하고 있으나, 현재 옥수수의 과도한 재배로 인하여 상당수의 땅이 재배력을 잃어버린 상태이기에 기근이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북한의 상위계층은 코인, 불법약물 등의 거래를 통하여 추가적인 수익을 얻고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고위층의 품위유지비로 주로 사용되거나 무기개발에 사용된다고 합니다. 북한의 경우 말씀하신대로 이미 무너져야 정상이지만, 여전히 일당독재체제를 통하여 불만의 목소리를 누르고 있기에 현 체제의 유지가 가능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하며, 도움이 되신 경우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북한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제품을 생산하고 수출하고 있습니다. 북한의 주요 수출 품목으로는 석탄, 철광석, 석유, 천연가스, 무기류, 전자제품, 섬유, 의약품 등이 있습니다.

    북한의 주요 수출국으로는 중국, 러시아, 인도, 필리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이 있습니다. 특히 중국은 북한의 거의 모든 수입과 수출을 담당하는 주요 무역 파트너입니다.

    북한의 경제가 굉장히 어렵긴 하지만, 북한은 다양한 방법으로 생존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북한은 국내 경제 개혁과 미국과의 정상적인 외교관계 회복 등을 통해 경제적 안정성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북한은 국내 자원을 적극 활용하고 노동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경제적 생산성을 높이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