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바다위의소금쟁이
바다위의소금쟁이
23.10.06

2금융권의 금리가 1금융권보다 높은 이유는 뭘까요?

금융권에는 1금융권 2금융권 나눠져있는데요.

대출이던 예금이던 2금융권이 1금융권보다 금리가 높은데 차등을 두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금 조달 비용이 1금융권은 예금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데, 2금융권인 저축은행, 카드사, 캐피탈사 등은 예금 기능이 없거나 제한적이기 때문에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더 높은 이자를 지급해야 합니다.

    그리고, 대출자의 신용도가 1금융권보다 일반적으로 낮기 때문입니다. 2금융권은 은행보다 신용도가 낮은 대출자를 대상으로 대출을 취급합니다. 따라서 대출자의 부실 위험이 더 높기 때문에 이를 감안하여 대출 금리를 높게 책정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10.07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제2금융권이 제1금융권보다 안전성 측면에서 리스크가 크기때문에 이자가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제 1금융권은 저비용으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고 채무 불이행 위험 낮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제 2금융권에 비해 더 낮은 이자율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금융권의 경우에는 1금융권과 다르게 고객들을 상대로 예금을 받아서 자금을 조달하거나 아니면 증자를 통해서 자금을 마련하고, 이 자금을 활용해 수익을 얻는 방법이 대출에 국한되다 보니 수익창출을 위해서 리스크가 큰 대출을 많이 하다 보니 이에 따라 예금의 부실화 가능성이 높아서 2금융권의 예금이나 대출금리가 모두 높은 것이에요. 쉽게 생각하면 더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더 높은 이율을 적용하게 되는 것이라고 보시면 되세요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금융권이 아무래도 1금융보다 재무구조가 안좋으니 그럴겁니다. 대출금리가 비싸니 이에 따른 예금 금리도 높은 개념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2금융권이 1금융권에 비해 자금을 조달하는 조달비용이 높기 때문입니다.

    • 애초에 자금 조달비용이 높다보니 대출금리와 예금금리가 높을 수밖에 없고 특히 예금금리로

      자금을 조달하여 대출하는 예대마진이 은행에 주 수입원인 만큼 1금융권에 들어가는 자금을

      2금융권으로 가져오려면 금리를 올리게 되어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금융권과 같은 경우 대출의 제한 등에 있어서

    비교적 1금융권에 비하여 까다롭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율을 더 높게 받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금융권의 대출금리가 1금융권과 비교시에 더 높은 이유는 2금융권이 대출을 하기위해 조달한 재원들의 금리가 더 높기 때문에 대출금리도 높아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1금융권 은행들이 재무건전성 등 안정성이 높고 지명도가 높기 때문에, 2금융권에서는 좀더 높은 이율을 제시해야 고객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그런 이유로 이율 차이가 난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이유는 단순합니다. 캐피털이나 저축은행 같은 2금융권의 주요 고객은 프라임 등급의 고신용자와 고소득 및 자산가가 아닌 저신용자와 저소득자들을 타깃으로 하고 있습니다. 채무 불이행 리스크가 크니 당연히 이자율이 높게 책정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은행은 신용점수 소득제한 등 저축은행보다 더욱 많은 조건들을 봅니다. 건실한 소득자만 대출을 해주겠다는거지요. 저축은행 등은 이보다는 낮은 허들을 제시하지만 리스크 만큼 이자를 더 받겠다는 것입니다. 이에 금리차가 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