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무역

블루베리산딸기요거트
블루베리산딸기요거트

관세로 영세 중소기업들은 얼마나 버틸지 궁금합니다

이제 트럼프 대통령이 8월 1일부터 한국에 25 퍼센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했다가 3주 유예했다는 얘긴데요 미국 수출 물량 많은 우리 입장에서는 진짜 걱정되더라고요 이러면 실제로 수출 기업들은 주문 취소나 납품 지연 같은 위험 겪을 수 있는 거 아닌지요 영세 중소기업들은 얼마나 버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말씀하신대로 이러한 상황에서 영세 중소기업들은 어떻게 버틸지가 걱정입니다. 다만, 그나마 희망을 가질만한 점은 7월 30일에 이에 대한 항소심 의견제시가 있으며, 이를 근거로 상호관세가 한번 더 유예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현재 트럼프도 관세를 부과하되 가능한 많은 협상 카드를 통하여 이익을 보고자 하고 있기에 이러한 부분에 대하여 결국 협상이 목표라고 판단됩니다. 그리고 초기에는 오더가 줄어들겠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이러한 부분에도 익숙해질 것이라고 판단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25퍼센트 관세 부과는 우리나라 중소기업들한테 진짜 큰 부담입니다. 특히 영세한 기업들은 이미 단가 경쟁에서 어렵게 버티는데 관세가 갑자기 올라가면 마진이 거의 안 남아서 수출 계약 포기하거나 주문 취소당할 위험도 큽니다. 대기업이야 생산기지를 옮긴다거나 다른 시장 찾는 선택지가 좀 있는데, 작은 기업들은 그런 여력도 없고 금방 자금 압박 받게 되니까 버티는 기간도 사실 그렇게 길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실제 관세부과가 이루어진다면 현재 10%의 보편관세 적용 품목이 25%까지 관세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가격경쟁력은 악화될 것이고, 장기계약을 체결한 상황이라면 수입자는 단가 변경 등을 요구할 가능성, 관세 일부 부담을 요구할 가능성 등이 있습니다. 이는 결국 마진이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며, 미국으로의 수출의존도가 높은 기업의 경우 더 부담이 커질 것으로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 8월 1일부터 한국산 수입품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했다가 3주 유예한 상황은 한국 수출 기업들에게 압박이 되는 것은 사실일 것입니다. 특히 협상력이 낮은 중소기업은 바이어로부터 납품 연기 또는 거래 축소 요청을 받을 수 있으며미국 바이어들이 ‘관세 리스크’를 이유로 계약을 재조정하거나 중국·동남아시아 지역으로 발주처를 변경하게 될 경우 어려운 상황이 생길 것입니다. 다만 , 미국 이외의 다변화 시장 개척, 공급망 재조정, 원산지 관리 강화 등 중장기 전략을 세우면서 어려움을 지나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