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고용·노동

임금·급여

빠른물총새262
빠른물총새262

월급제의 경우. 주4일이하 무급휴가로 인한 주휴수당 계산방법

안녕하세요.

20인 내외, 정규직, 월-금, 9-18시, 월급제 근무 조건인 곳에서 경리 보고 있습니다.

주휴수당 계산이 어려워, 문의를 드립니다.

저희 회사직원 분들이 개인 사정으로인해 무급휴가를 쓰시는 경우가 많아서 헷갈리네요.

1. 월-금을 모두 다 쉬게되면 주휴수당이 안나오는 점은 알겠는데, 주 1일을 쉬어도 주 2일을 쉬어도 주휴수당이 지급이 안되는 경우인가요? (연차 사용 X, 근로자 개인 사정으로 인한 무급휴가로 쉬는 경우를 말합니다.)

1-1. 위의 질문에 주휴수당이 지급된다면, 주5일 쉬는 경우, 주4일,3일,2일,1일 쉬는 경우 모두 1일치의 주휴수당을 지급안하는 건지요? 아니면 시간당으로 주휴수당을 계산해야하는 것인지요? 계산방법 문의 드립니다.

1-2. 0.5일 무급휴가의 경우도 궁금합니다. 주휴수당 지급 및 계산방법

2. 저희가 내규에 내년 20%의 연차를 당겨쓸 수 있는 규정이 있습니다. 근데 그 이상으로 연차를 당겨쓰신 직원분들이 있어서, 결국 8월분 급여에 무급처리로 정산하기로 했는데요. 만약 2일 휴가를 초과로 쓰신 경우에 2일분의 무급과 주휴수당 또한 제하고 급여를 지급해야되는지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하기 이미지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