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징징 거릴땐 단호하게 훈육해야하나요?
7살 딸아이가 애기때부터
하루종일 징징징 했었는데..
7살이 된 지금도 표현을 말로 안하고 징징 거리네요ㅜ
이럴땐 혹시 단호하게 훈육해야하나요?
혹시 아이가 사랑을 많이 못 받는다고 생각해서 그럴까요?ㅜ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훈육을 시도해도 좋을것으로(자녀가 징징거리는 상황에서) 보여집니다. - 훈육에서는 엉덩이나 머리를 때리는 것을 포함해서 체벌을 훈육방법으로 쓰는 것은 어떤 연령에서든지 부적절합니다. - 아이의 행동을 장기적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아이도 부모도 좀더 차분해져서 감정을 조절하고 논리적으로 생각을 할 수 있는 상태에서 찬찬히 설명하면서 타이르는 것이 더 낫습니다. 그리고 아이의 행동을 지속적으로 관찰하면서 바람직한 행동을 하거나 잘못된 행동을 줄여가려고 노력하는 것에 대해서 칭찬해주고 격려해주는 행동수정을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 부디 잘 해결 되시길 기원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보라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7살이라면 고민이 많이 되실것같아요 - 더 어릴때라면 조금 받아줄 수도 있겠지만 - 내년 학교를 가야할 친구라면 - 어머님께서 조금은 굳게 마음을 먹고 - 지금부터라도 징징거리면 말하는 행동을 - 고칠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할것 같아요 - 징징거리며 말할 때에는 오히려 그 행동에 - 관심을 주지 마시고 들어주지 말아주세요 - 한번 들어주기 시작하면 아이도 또 징징대면 - 엄마가 들어주시겠지 하는 생각을하게되요 - 엄마가 알아들을 수 있게 징징대지 말고 얘기하면 - 너의 얘기를 엄마도 경청해서 들어주겠다는 - 의사를 아이에게 정확히 표현해주시고 - 일관성있게 어머님의 훈육태도를 유지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애정이 결핍된 아이들이 징징 거리는 경우가 많으니, 이런경우에는부모님께서 사랑을 듬뿍 주는 게 중요합니다 - 툭하면 징징 거릴 땐, 무엇때문에 징징 대는지 정확히 아는것이 중요합니다. - 의존심이 강한아이는 잘못을했을 경우 혼날까봐서울기도하고,욕구가강한아이는자신이원하는것을얻기위한수단으로울기도합니다. - 아이의 우는원인이합리적인것이아니면울더라도짜증을내거나달래지 말고무관심한태도를취하세요. - 울음이모든 걸 해결해주는 요술방망이가되어서는안됩니다. - 잠시동안혼자 놔뒀다가 아이의 감정이 가라앉으면왜우는지그이유를아이가설명하도록하는것이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7세가 징징거리면서 우는것은 퇴행으로 볼수있습니다. - 아이가 스스로말을 하면서 표현할수있음에도 하지 않는다는것은 그만큼 자신의 감정표현에 서툴기때문일수있습니다. - 이럴땐 아이에게 훈육보다는 어떻게 표현하는지 알려주는것이 좋습니다. - 이럴땐 어떤 식으로 감정을 표현하고 푸는지설명해주고 힘들었던 감정을 공감해주는것이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이에게 무조건 안돼! 보다는 아이를 감정적으로 소통할 필요가 있습니다 - 징징거리는 행동을 한다면 왜 그런행동을 하는지를 살피실 필요가 있고 해당되는 이유가 있다면 그 이유를 해결하기위해 도와줄 필요도 있습니다 - 무조건 오냐오냐 하는 것도 안좋다만 무조건 혼내는 것도 좋지 않기때문에 아이와의 소통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이가 욕구불만이 있을 때 자주 징징거리는데, 아마도 습관이 굳어버린 듯 합니다. - 아이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 주는 게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 아이가 자꾸 징징대면서 떼를 쓰면 참 힘드실 텐데요. 자꾸 떼를 쓰는 아이는 일단 일정시간동안 무시해버리면 진정이 되는 경우가 꽤 많습니다. 그리고나서 아이의 마음을 달래주시는게 필요한데요. 훈육은 그다음입니다. 남들에게 피해를 주는 상황이거나 들어줄 수 없는 상황 이외에는 우선 아이의 감정을 다독여 주신 후 훈육을 하는 것이 바람직해요. 이러한 부모 양육 태도는 자녀가 부모로부터 자신의 감정을 존중받고 있다고 느끼게 해주므로 본인 스스로를 나름 이해하려고 노력한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습관이 된 것일수 있습니다.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어내고자 하였을때 징징거리면 그것을 해주었던 경험이 - 있으시지 않나요? - 생각을 해보시고 그런 경험이 있었다면 단호하게 훈육하셔야 합니다. - 대신 훈육후 왜 훈육을 했는지 따뜻하게 설명해주세요. 그리고 꼭 안아주세요. - 아이도 이해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이가 계속 그렇게 할 경우에는 단호하게 교육하셔야 합니다. - 아이가 추후에도 자기 뜻대로 상황이 벌어지지 않았을 때, 계속 그럴 수도 있고 - 학교에 가기전에 아이를 조금 잡아놓아야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이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단호하고 일관된 훈육이 필요합니다 - 아이는 엄마가 본인이 징징거리면 - 원하는 것을 들어준다는 것을 알기에 징징대는 것입니다 - 일관되고 단호한 훈육으로 아이에게 혼선을 주는 것을 피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