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고결한게244
고결한게24422.05.02

환율상승에 따른 외국인 주식 투자자들의 성향은?

요즈음 환율이 많이 오른다고 합니다. 환율이 이렇게오르면 우리나라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하는데 왜 외국인 주식투자자들은 주식을 매도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이유를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내 주식, 채권 등 원화 표시 금융 자산 매도는 미국의 금리 인상과 긴축 등의 영향이 큽니다. 美연준의 기준 금리 인상은 글로벌 펀드의 안전자산 비중을 높이는 포트폴리오 조정 니즈를 부릅니다. 주식 비중도 줄이게 되는데 한국 주식 시장은 미국 등 주요국 주식 시장 대비 위험도가 높아 일정 부분 매도를 하며 현금을 보유하거나 위험이 좀 더 낮은 주식 시장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 와중에 외국인 투자가들의 원화 표시 주식이나 채권을 매도하고 달러를 환전 하게 되면 외환 시장에 원화 공급은 늘어나게 되고 달러 수요가 증가하여 美달러 대비 원화 환율을 상승(=평가절하, 가치 하락)하게 되고 환율 상승은 한국 주식 매도 의향이 없었던 외국인 투자가들의 추가 매도 압력으로 작용합니다. 환율 상승에 따른 미실현 환차손이 발생하게 되어 추가적인 환율 상승이 예상될 경우 추가 매도를 하게 되는 악순환에 빠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상 간략히 참고 말씀 드립니다.


  • 환율은 통화간의 교환비율로 달러의 가치를 원화비율로 계산을 한것입니다. 이는 어제 1000원이면 살수 있는 수입의 경우는 1200원 상승을 하면 200원을 더 주고 사와야하는데 이처럼 원화가치가 떨어진건데 이는 수입단가의 상승으로 역으로 수출품에 대한 가격 상승까지 이어집니다. 환율상승은 수입가격 상승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현상을 초래하기떄문에 좋지 않습니다.이는 물가상승에 요인이기도 하며 특히 외국쪽에 부채가 있으며 이자에 대한 부담도 커지기때문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7.04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우리의 상식에 의하면 환율이 뛰면 수출이 늘어나고, 수출이 늘어나면 기업의 이익도 그만큼 증가해 주가가 뛰게 됩니다.

    그리고 환율이 하락하면 수출이 감소하고, 수출이 감소하면 기업의 이익도 그만큼 감소해 주가가 하락을 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AFPK/경제·금융/보험전문가입니다.

    외국인 입장에서는 주식을 투자할 때 시세차익과 함꼐 환차익을 함께 생각합니다. 외국인 투자자입장에서는 주식을 구매할 당시보다 환율이 떨어지면 환차익을 얻지만 오히려 반대로 환율이 오르면 환손실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외국인 투자자 입장에서는 환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것이 국내 주식투자에 유리합니다.


  • 요즘 미국에서 금리를 많이 올리고 있죠

    그러면 외국인들이 리스크가 있는 주식에 투자하기보다는 자국에 투자하기 위해서 한국에 투자한 주식을 팔겠죠.

    주식을 매도하면 한국 돈으로 받겠죠. 그래서 그 한국돈을 달러로 바꿉니다. 그래서 환율이 상승하는 겁니다.

    그래서 한국이 미국보다 발빠르게 금리를 먼저 올리는 시도를 하는겁니다.


  • 안녕하세요. 손유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사실 환율 상승보다 더 좋은 것이 그냥 환율이 안정적으로 움직이지 않는 것 입니다.

    게다가 어떠한 좋은 환경1이 존재한다고 해도 다른 2 3 4 의 악재가 터진다면 투자자들은 투자금을 회수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