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예금·적금

화목한다람쥐109
화목한다람쥐109

금태환제도 왜 없어진건가요??

안녕하세요

예전에는 금태환 제도로 돈을 보유한 금 만큼 찍어 유통했다고 알고 있는데요

이런 금태환제도 왜 폐지된 건가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차대전 전후 세계 경제는 미국 중심으로 재편되고 미달러를 기축통화로 하여 이를 금과 태환을 한 게 금본위제입니다. 당시 순금 1온스를 미달러 391.20달러에 연동했습니다.

    그러나 미국의 닉슨 행정부는 베트남 전쟁 전비 마련 등으로 엄청난 달러를 발행하며 금과의 태환을 유지하기 어려워 금태환을 중지하게 됩니다. 이상 간략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이는 미국의 디폴트 사태로 인하여 벌어진 일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해당 사건은 닉슨 쇼크라고 불리며, 미국의 무역수지 연속 적자 및 베트남 전으로 인하여 국가재정의 적자가 심해지자 이에 대한 금 보유량이 계속 줄어들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갑자기 달러에 대하여 금본위제가 아니라 미국의 신용을 기초로하는 신용본위제로 전환하게 된 것입니다. 이는 미국이 디폴트를 선언한 것과 마찬가지이며, 달러에 대하여 미국이 무제한으로 찍어내는 양적완화를 할 수 있게 된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사건은 충격이었으며, 미국의 달러 위치가 흔들릴 것이라고 보았지만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자원인 원유가 미국달러로 거래되는 시스템(페트롤 달러 시스템)이 존재하였기에 계속 통화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971년 8월 15일 리처드 닉슨이 금태환 정지를 선언(닉슨쇼크)하며 금본위제는 사실상 막을 내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