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형사 이미지
형사법률
형사 이미지
형사법률
완강한후투티196
완강한후투티19621.05.22

뇌물수수죄 거래 이후 수수 관련

보통 뇌물수수죄에서는 거래 이전/중에 뇌물을 수수받고 직무 관련해서 무언가 부정한 행위를 해서 처벌받는 거 잖아요


혹시 모든 거래가 끝난 이후에 사례 측면에서 선물을 받는 것도 뇌물수수죄에 해당되나요?

이럴때는 대가성의 여부를 어떻게 판단하나요?


법적인 측면에서 설명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법률 분야 전문가 한경태변호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대법원은 아래와 같이 판시하였습니다.

    "금품 제공의 뇌물성을 판단할 때 상대방의 지위와 직무권한, 금품 제공자와 상대방의 종래 교제상황, 금품 제공자가 평소 기부를 하였는지와 기부의 시기ㆍ상대방ㆍ금액ㆍ빈도, 제공한 금품의 액수, 금품 제공의 동기와 경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이상, 답변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법률 분야 전문가 이성재변호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제131조(수뢰후부정처사, 사후수뢰) ①공무원 또는 중재인이 전2조의 죄를 범하여 부정한 행위를 한 때에는 1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한다.

    ②공무원 또는 중재인이 그 직무상 부정한 행위를 한 후 뇌물을 수수, 요구 또는 약속하거나 제삼자에게 이를 공여하게 하거나 공여를 요구 또는 약속한 때에도 전항의 형과 같다.

    ③공무원 또는 중재인이었던 자가 그 재직 중에 청탁을 받고 직무상 부정한 행위를 한 후 뇌물을 수수, 요구 또는 약속한 때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년 이하의 자격정지에 처한다.

    ④전3항의 경우에는 10년 이하의 자격정지를 병과할 수 있다.

    형법은 위와 같이 사후 수뢰를 한 경우도 처벌하고 있습니다. 참고가 되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법률 분야 전문가 김성훈변호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래 내용은 답변내용에 기초하여 작성된 것으로, 구체적인 사정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형법

    제131조(수뢰후부정처사, 사후수뢰) ①공무원 또는 중재인이 전2조의 죄를 범하여 부정한 행위를 한 때에는 1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한다.

    ②공무원 또는 중재인이 그 직무상 부정한 행위를 한 후 뇌물을 수수, 요구 또는 약속하거나 제삼자에게 이를 공여하게 하거나 공여를 요구 또는 약속한 때에도 전항의 형과 같다.

    형법은 모든 거래가 끝난 이후에 사례 측면에서 선물을 받는 경우도 상정하여 사후수뢰죄로 처벌하고 있습니다.

    대가성 여부는 해당 사례의 크기, 주는 경위 등을 고려하여 일반적인지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