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사 자동차보험 운전자보험 가입시
직업을 적으라고하던데 왜그런지 궁금하고 제가 전업투자자라 맞는 직업류가없어서 집안일하니 전업주부라고전엇는데 남자도 집안일하면 전업주부라고해도되는지 그리고보험사에전업주부라고하면 뭐가잇나요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가입시 직업은 상해급수를 정하는데 중요산 요인이 됩니다 질병에는 관련이 없지만 만약 사고가 발생했을때 직업과 관련된 있을 하다가 사고가 났는지 관련없은 일을 하다 난 사고인지에 따라 보험금 부지급 또는 비례보상이 될 수 있습니다 전업주부는 1급으로 위험직종은 아닙니다 만약 판매일을 하게되면 2급이 되어 통지를 하여 변경하여야 하며 보험료가 오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석민 보험전문가입니다.
상해 위험률을 산정하기 위함입니다.
특히 직업은 다칠 확률에 크게 영향을 주기 때문이죠.
그리고 성별과 주부랑은 전혀 관계 없습니다. 남자도 주부로 가입 충분히 가능하시구요.
전업주부라고 하더라도 부업이 있는 경우 (아르바이트를 한다던지) 그 해당 직업으로 고지를 해주셔야 합니다.
또한, 자동차보험,운전자보험에서는 '운전 빈도'가 더 중요합니다. 일상 운전자가 아닌 경우, 다른 직업에 비해 보험료가 저렴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
안녕하세요. 김수빈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사에서는 직업을 통해 사고 위험도를 평가하기 때문에 전업주부는 위험도가 낮아 1급으로 분류됩니다.
남자도 집안일을 하거나 전업주부로 등록하면 위험도에 따라 보험료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직업이 없거나 집안일만 하는 경우 무직으로 분류되거나 위험도가 낮아 보험료가 낮게 책정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권태민 보험전문가입니다.
상해 위험 등급을 나누기 위해서 직업을 고지하게됩니다.
남자도 전업주부가 될 순 있긴하나 아직 인식이 부족하여 '무직'으로 분류되거나 가입이 제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장옥춘 손해사정사입니다.
: 운전자보험에는 일반 상해담보를 포함하고 있고, 일반상해담보의 경우, 일반상해담보가 아니더라도 직업에 따른 위험도가 다르기 때문에 그에 따른 위험도를 반영한 보험료가 산정되기 때문에 직업은 정확히 기재하셔야 합니다.
즉, 택시기사와 질문자처럼 전업투자자를 비교하면 택시기사가 교통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보험료가 높게 산정이 됩니다.
전업투자자의 경우에는 통상 상해급수 1급에 해당되어, 전업주부와 동일하여 추후 위험도가 높은 직업으로 변경되지 않는다면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