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학교에서 한번씩 못땟게 하는 친구가 있어요 놀지 말라고만 말하면 될까요
아이가 선입견은 없어서 다 잘 지내는 편인데 돌봄에서 한친구가 유독 와서 못땠게 하나봐요 엄마가 외국인이더라고요 유치원때도 얘가 할퀸적 있어요 선생님한테 말하고 가까이 가지 말랬는데 다른말 더 예쁘게 할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다문화 가정의 아이들은
문화적 소통 중 언어적인 대화가 힘들기 때문에 의사소통에 대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아이와 엄마는 우리 말에 대한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소통이 힘듭니다.
언어적인 표현이 싫다 라고 한다면
행동과 제스처로 자신의 감정을 전달을 해야 합니다.
친구가 때리고 할퀴려고 한다면 NO 라고 말을 하거나, 손으로 엑스자를 만들어서
이러한 행동을 하면 안됨을 단호하게 알려주라고 아이에게 지도를 해주세요.
그러나 이러한 행동이 너무 오래 지속된 만큼 가장 중요한 것은
돌봄 담담선생님과 상담을 통하여 우리 아이에게 못되게 하는 친구의 행동지도를 부탁드리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단순히 놀지말라고 하는 것만으로는 상황을 해결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아이가 그 상황에서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에 대해 대화를 나누는 것입니다 아이가 경험하는 감정을 이해하고 그 감정을 표현할 수 잇도록 도와주는 것이 필요해요
먼저, 아이가 그 친구와의 관게에서 느끼는 감정을 털어놓을 수 있도록 안전한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디ㅏ
그리고 아이가자신이 겪은 일에 대해 어떻게 대처할 수 있을지, 상대방과의 관계를 어떻게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을지에 대해 함께 고민해 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 상황을 단순히 "놀지말라"는 말로 끝내기보다는 아이가 어떻게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상대방과의 관계를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지에 대해 구체적인 방법을 함께 생각해주면 좋습니다
이런 접근은 아이가 더 성숙하게 갈등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상대방에게도 더 나은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길을 열어줍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괴롭히는 아이에게 하지말라는 본인의 분명한 의사를 밝히게합니다 계속 이런행동이 지속되면 담임선생님께 알려 같이 해결책을 찾아갑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에게 놀지 말라 고만 하는 거 보다는 장난치면서 노는 게 싫다고 직접 말을 전달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햘퀴는 행동을 하면 바로 선생님이 도움이 필요할 거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