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지혜로운침팬지14
지혜로운침팬지1423.03.23

아이가 몇살이 되고나서부터 옆에 반려견을 같이 키우는 게 좋을까요?

아이가 몇살이 되고나서부터 옆에 반려견을 같이 키우는 게 좋을까요?

갓난쟁이 일 땐 반려견이라도 불안해서 같이 키우기 조금 두렵구요 언제부터 정서적으로 동물과 교감이 가능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신애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의 나이가 5살 정도가 될때 반려견을 키우는 것이 적당한 것 같습니다.혹시 모를 일을 위해 자신의 신변을 보호하고 위험을 알릴 수 있는 나이어야 한다고 봅니다.정서적 공감도 5세 정도이면 충분히 가능하니 아이나이가 5세 정도 되면 반려견을 키워보세요.반려견을 키울때의 규칙과 약속은 반드시 알려주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23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동물이 좋아하는 행동, 싫어하는 행동이 무엇인지를 인지하는 시점부터 키우는 것이

    아이의 안전에도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3~4세정도가 되면 어느정도는 분별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반려동물이 아이에게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이의 책임감을 강하게 하고, 약자에 대한 배려심을 키워줍니다.

    서로에게 좋은 친구가 되어주고, 내성적인 아이도 활발한 성격으로 바꿔줍니다.

    마지막으로 반려견과 같은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산책을 시켜줘야 하기 때문에 신체발달에도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키우는 시기는 사실 딱히 정해져 있지는 않습니다. 정서적 교감은 신생아 때부터 일때도 가능하구요. 아이에게 개털 알레르기가 있는지 부터 확인해보시고 고민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타인과 동물의 감정을 이해 할 수 있는 두돌정도가 반려동물과 함께 지내기는 좋습니다.

    하지만 강아지를 키우는건 3~4살 정도의 기능을 가진 아기를 10년 이상 키우는 것 만큼 쉽지 않습니다.

    분리불안이 있는 강아지라면 집에 혼자 두고 외출하는 것도 힘들고 아이와 강아지가 함께 다닐 곳도 사실 많지 않습니다.

    강아지를 키운다는 건 정말 쉽지 않은 일이니 신중히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배유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반려견을 키울라면 대단한 책임감이필요합니다

    아이의 개인적인 성격, 가족 구성원의 상황, 그리고 반려견의 종류와 성격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체적으로는 아이가 4살 이상일 때 반려견을 같이 키우는 것이 좋은 경우가 많습니다.

    감정을 조절하는 능력이 향상되기 때문에, 반려견과의 상호작용이 더욱 원활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이때부터는 반려견의 케어나 훈련 등을 함께 할 수 있기 때문에, 아이의 책임감과 동물애를 길러주는 좋은 기회가 됩니다.

    갓난쟁이일때는 반려견의 발톱이나 이빨 또는 감염위험이 있기때문에 권장은 안해드리나

    부모의역활과 반려견의 종류와 성격에 따라 신중하게 고민해보시길 바랍니다

    원래 키우던것이 아니라면 갓난쟁이때는 추천드리고싶진않네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와 반려견을 언제부터 함께 하면 좋을까? 라는 물음에 답을 해드리자면

    아이들은 생후 1년 뒤 엄마에게 받은 면역물질이 소실이 되고 아기 스스로 면역력을 키우는 기간 입니다. 따라서 이 시기에 반려견과 아이를 함께 키운다면 아이 스스로 면역력을 키울 수 있을 것입니다.

    생후 4주 이내에 반려견을 키운다면 신생아는 외부자극에 민감하기 때문에 이 시기에는 키우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또 아이와 반려견을 바로 접촉 시키는 것이 아니라 공간적 분리를 해놓고 서서히 서로를 인식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 지난 뒤함께 키우는 것이 좋으며 반려견이 아이를 공격하지 않도록 아이가 반려견 보다 높은 서열에 있다는 것을 확실하게 교육을 시켜 주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권미정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언제부터 반려동물과 함께 키우기에 적합한지는 아이의 성격과 발달 상태에 따라 다릅니다. 보통 3세 이상인 아이들이 동물과 교감하는 능력을 발달시키기 시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아이와 반려동물을 함께 키우기 위해서는, 반려동물을 잘 훈련시키고 아이가 안전하게 대할 수 있도록 감독이 필요합니다. 또한, 아이의 알레르기나 질병 등의 건강 문제도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반려동물을 함께 키우기 전에는 충분한 고민과 준비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특별히 연령이 정해져있지는 않습니다.

    갓난아기때부터 반려동물과 함께 성장했을때 많은 장점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만3세 이후에 타인이나 다른 대상과 정서적 교감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4살 정도면

    반려동물과 친밀감을 가지고

    상호작용을 할 수 있으니 고려해보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3~4살만 되어도 반려동물과 교감이

    가능합니다.

    그 이전부터도 가능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반려동물과 함께 자라는 아이들은 생명의 소중함도 알게 되며 심리적으로도 안점감을 느낄 수 있어서 스트레스가 감소되며 아이들의 자존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입니다.

    또 타인을 배려하며 반려견과 밖에서의 활동이 많아지니 신체도 발달하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면역력이 극도로 낮은 신생아 들에겐 위험한 요소들이 많습니다.

    털이 날리거나 감염에도 취약하므로 아이가 너무 어릴 땐 피하는 게 좋을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