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하하123
하하12323.08.14

프로락틴 수치 높아서 큰병원 가보려고하는데 진료과 문의드립니다

나이
29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생리가 안와서 다낭성 진단받고 검사하니 프로락틴 수치가 높아 큰병원가서 뇌 mri 찍어보라해서 예약하려는데

신경외과로 예약하려는데 찾아보니 내분비 내과가라는글도 보여서요 ㅠㅠ 신경외과로 가도 문제 없을가요...? ㅜㅜ 프로락틴수치는 80~90 정도 두번나왔습니다

이경우 의뢰서들고 가면 mri도 실비 처리되는거맞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내분비대사내과에 우선 방문하셔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신경외과는 수술적치료가 필요한 프로락틴분비선종이 확진되었을때 치료적인 수술을 위해 의뢰되는 과 입니다.

    무월경이나 유루증을 동반하거나 불임을 주소로 병원을 방문하 는 가임기 여성이나 발기불능이나 불임을 주소로 하는 남성에서는 혈청 프로락틴을 측정하여 고프로락틴혈증 유무를 확인하고 원인 을 규명하여야 합니다.

    우선 진단을 위해 정확한 문진과 이학적 검사를 한 후 혈중 프로 락틴을 측정하거나 뇌하수체나 시상하부의 신경방사선학적 검사가 필요하고 경우에 따라 신장기능검사, 간기능검사 및 갑상선 기능검 사 등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여성에서 우선 임신여부와 에스트로겐의 사용여부, 도파민 수용체 길항제의 사용여부 및 갑상선 기능저하증 이나 간경변증 및 신부전의 증상에 대해 물어보고 두통이나 시야장 애 유무에 대한 문진도 필요합니다.

    유루증의 양상을 확인하고 간경변 이나 신부전의 징후에 대한 이학적 검사가 필요하고 갑상선 기능저 하증에 해당되는 소견이 있는 지를 검사합니다. 경우에 따라 시야검사 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우선 혈청 프로락틴치의 측정이 필요하며 호르 몬이 하루 중 주기적으로 분비되고 수면이나 운동 및 스트레스나 유 방의 자극, 고단백식이에 의해 분비가 자극될 수 있기 때문에 반복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호르몬치가 200 ng/mL 이상이면 대개 뇌하 수체의 프로락틴 분비 선종을 의심하나 20-200 ng/mL인 경우에는 다른 원인을 감별해야 합니다. 혈청 호르몬 치는 종양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며 종양의 크기가 1 cm 이하의 미세선종에서는 200 ng/mL 이하인 경우도 있습니다 .

    임신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소변에서 hCGβ를 측정해 볼 수 있고 황체형성 호르몬(LH), 난포자극호르몬(FSH), 경 우에 따라 갑상선 기능이나 신장 및 간기능검사 등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뇌하수체 종양이 의심되면 뇌하수체 호르몬 검사를 비롯하여 혈청 코르티솔이나 인슐린량 성장인자를 측정해보고 프로락틴 분 비선종에 의한 고프로락틴혈증을 진단하기 위해 TRH나 도파민 수 용체 차단제를 이용한 자극시험을 시행해 볼 수는 있으나 진단을 위 해 유용하지는 않습니다.

    뇌하수체 선종이 의심되면 고해상 뇌 전산화 단층촬영이나 뇌 자기공명영상으로 뇌하수체 종양의 위치나 크기 를 확인해야 합니다. 뇌하수체 선종의 크기가 1 cm 이상이고 혈청 호 르몬치가 200 ng/mL 이상이면 대부분 프로락틴 분비선종으로 진단 할 수 있으나 확진을 위해서는 수술 후 면역세포화학 염색이 필요합니다. 방사선학적인 검사에서 시상하부나 뇌하수체에 이상소견이 없 고 이차적인 원인을 발견하지 못하는 경한 고프로락틴혈증이 있으 면 특발성 고프로락틴혈증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특발성의 경우 혈청 호르몬치가 20-100 mg/mL 정도로 프로락틴 분비 미세선종과 감별 을 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아람 의사입니다. 일단은 뇌 MRI가 다음 검사 예정이니 신경외과로 가셔도 무방할 듯합니다. 그 결과에 따라서 의뢰를 해 주시든지 상담을 하시든지 할 거예요.


  • 내분비내과에서도 관련된 진료 및 정밀 검사가 가능하지만 프로락틴종과 관련하여서는 신경외과에서 진료가 가능합니다. 다만 MRI 검사에서 종양이 발견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내분비내과적으로 더 정밀하게 원인을 찾아보아야 하겠습니다. 보험 여부는 게시판 정책에 어긋나며 상담 불가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내분비내과도, 신경외과도 진료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니 어디든 진료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실비처리에 대해서는 보험사에 직접 문의하셔야 합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