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은 왜 원금이 보장되지 않는건가요??
우리가 은행에서 돈을 빌리면
무조건적으로 갚아야 하잖아요??
채권이라는 것도 돈을 빌려 가는 것인데
이자는 못줘도 원금만큼은
무슨일이 있어도 갚아줘야하는게 아닐까요??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채권이라고 하는 것은 회사나 국가등이 발행하는 일종의 '차용증서'로서 다른 이로부터 돈을 빌리는 행위에 해당하기 때문에 돈을 빌린 채무자가 파산하는 경우에는 돈을 받을수가 없게 되어 원금을 보장하지 못하는 것이에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은행에서 돈을 빌린 차주중에서도 원금을 한번도 갚지 않고 파산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은행 입장에서는 채권을 발행하고 돈을 떼이는 것입니다
이처럼 채권도 발행 후 회사가 망하게 되면 돈이 날아가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채권은 금리에 따라 채권가격은 변동하지만 만기보유시 이자와 원금을 보장받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채권과 같은 경우에는 해당 발행하는
국가나 기업이 이를 발행하여 자금을 조달하고 사용하기 때문에
망한다면 이에 대한 원금보장이 안되는 것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이철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개인도 은행에 돈을 빌렸을때 개인 회생절차나 파산을 하면 일부 안갚을수 있습니다.
이것처럼, 채권을 발행한 국가가 디폴트 선언을 하거나, 회사가 도산하게 되는 경우에는 일부 채권을 회수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채권은 당연히 약정 이자 외에 만기 시 원금을 갚도록 되어 있습니다. 해당 채권의 원금이 보장되지 않는다면 채권 발행처가 파산하거나 지급 불능에 빠질 경우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양승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은행에서 빌리는 대출도 못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은행입장에서도 동일하게 채권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통 님 말이 맞긴한데요 회사채 공사채 금융채 국고채 등등 채권이 많은데 회사건 공사건 은행이건 정부건 디폴트나면 원금을 상환할수가 없긴하죠 근데 디폴트 나지 않는한 원금이자 다 줍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채권이 왜 원금 보장이 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채권은 예금자보호가 되는 상품이 아니며 투자상품으로
원금 손실이 가능합니다.
그렇기에 채권 발행기관이 파산하게 되면
원금 손실의 가능성이 매우 높고
특히 후순위 채권들은 변제 순위가 낮아서 이 위험은 더 높게 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채권은 투자의 일종이기 때문에 원금이 무조건 보장되지는 않습니다. 채권 투자에는 원금 손실 위험이 있는데, 그 주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발행기관의 부도 위험
채권은 정부, 지자체, 기업 등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것입니다. 만약 발행기관의 재무상황이 악화되어 채무 상환이 어려워지면 원금을 제대로 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2. 금리 변동 위험
채권 만기 전에 매도할 경우, 금리 변동에 따라 채권 가격이 하락하면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금리가 오르면 채권 가격은 내려가는 반비례 관계입니다.
3. 인플레이션 위험
인플레이션율이 채권 수익률보다 높으면 실질 원금 가치가 하락하여 손실이 발생합니다.
4. 신용등급 하락 위험
발행기관의 신용등급이 하락하면 채권 가격도 내려가 원금 손실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채권에도 다양한 위험요인이 존재하기 때문에 원금 보장이 절대적이지는 않습니다. 투자 시에는 발행기관 신용도, 금리 변동성, 만기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국고채, 지방채, 회사채 등에 따라 위험 정도도 다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