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대찬밀잠자리170
대찬밀잠자리17023.01.11

미국이 기준금리 계속올리면??

미국이 기준금리를 계속올리면 한국도 기준금리를 올려야 하는데 이러한 기준금리 인상이 계속되면 국내 경제에 어떤 영향을 주게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과의 기준금리 차이가 계속하여 벌어진다면

    원달러환율급등과 더불어서 외인 자본이 유출될

    확률이 높으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손유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은 국내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투자자들이 미국에서 더 높은 수익률을 추구하기 때문에 한국과 같은 신흥시장에서 자본이 빠져나갈 수 있고, 이는 미국 달러화 강세와 원화 약세로 이어져 수입품이 비싸지고 물가상승률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이는 기업과 개인의 차입비용 증가로 이어져 투자와 소비를 둔화시킬 수도 있습니다.

    경제적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한국은행은 원화가 너무 빨리 평가절하되는 것을 막기 위해 기준금리를 인상할 수도 있습니다. 이것은 대출을 더 비싸게 만들어 경제 성장을 늦출 수 있습니다. 그것은 또한 더 높은 주택담보대출 금리와 다른 대출 금리로 이어져 소비자 지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금리 인상은 저축과 정기 예금 계좌 보유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그들은 저축으로 더 많은 돈을 벌 것입니다.

    전반적으로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은 국내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동시에 미칠 수 있습니다. 그것은 더 강한 통화와 더 낮은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질 수 있지만, 그것은 또한 대출을 더 비싸게 만들어 경제 성장을 늦출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한은은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장단기 효과를 따져보고 경제의 최선의 이익에 따라 결정을 내려야 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대출 감소: 높은 이자율은 대출 비용을 더 비싸게 만들 수 있으며, 이는 가계 및 기업의 대출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것은 지출과 투자를 억제하여 경제 성장을 늦출 수 있습니다.

    주택 시장 활동 감소: 모기지 금리가 높아지면 주택 구입 비용이 높아져 수요가 감소하고 주택 시장이 둔화될 수 있습니다.

    주식 시장 성과 감소: 금리 상승은 주식에 비해 채권을 더 매력적으로 만들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투자자는 자금을 주식 시장에서 채권으로 옮길 수 있습니다. 이는 주가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경제 성장 감소: 투자 및 지출 감소는 경제 성장을 둔화시키고 실업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저축 증가: 이자율이 상승하면 저축 계좌, CD 및 기타 고정 소득 투자의 수익이 증가하여 소비자가 더 많이 저축할 이유를 갖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지속적으로 인상하게 되면 다른 국가들 또한 금리를 올릴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생각해주시면 좋습니다. 다만 국가들의 상황에 따라서 금리인상의 폭을 더 낮게 할 텐데 그 이유는 미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들은 현재 심각한 소비침체로 인해서 경기침체 현상이 매우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행이라면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앞으로 2차례 정도 더 있을 가능성이 높지만 정점금리 수준은 정해져있고, 이 정점 금리가 길게 이어져봤자 1년이라는 점입니다. 그렇기에 미국이 금리를 올리게 되면 따라서 금리를 올리기는 하겠지만 작년과 같이 급격한 금리인상을 하지 않으니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작년에 비해서는 미미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정점을 찍고 내려가고 있다는 판단에 의해서 금리 인상 폭이 완화되고 있는데, 2월의 CPI값이 만약 다시 상승하게 되는 경우는 다시 연준의 긴축속도가 빨라질 수 있어서 이 부분만 주의깊게 살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2월의 CPI값 상승을 예측하는 이유는 작년 11월 전까지는 강달러 시장의 유지로 인해서 미국의 원자재 수입가격이 낮았지만 11월 11일을 기점으로 약달러시장으로 전환됨에 따라서 미국 또한 원자재 수입 가격이 상승하게 되면서 CPI반영되는 것이 3개월정도라는 것을 고려하면 2~3월의 CPI값이 고비가 될 것이라 예측하게 되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11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경우를 생각해보면 먼저 은행의 예금 및 대출금리가 상승하면서 기업이나 가계는 대출을 덜 받고 저축을 더하고자 하는 유인을 갖게 됩니다. 은행도 높아진 이자부담으로 대출자들이 돈을 제대로 갚지 못할 것을 우려해 대출에 더 신중해지게 됩니다. 그 결과 기업의 투자와 가계의 소비가 줄어들면서 경제활동은 둔화되고 물가는 하락하게 됩니다. 또한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기준금리 인상은 환율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다른 나라의 금리가 그대로인 상태에서 우리나라 금리가 상승하면 우리나라 은행에 예금하고자 하는 유인이 커집니다. 이로 인해 해외 자본이 우리나라로 더 많이 유입되면서 원화가치가 상승하여 환율이 하락하게 됩니다. 환율 하락은 수출품 가격을 상승시키고 수입품 가격을 하락시켜 우리나라의 수출이 감소하는 반면 수입은 증가하는 결과를 가지고 올 것입니다. 이처럼 금리인상은 물가를 안정시키는 장점이 있지만 동시에 소비와 투자 등 총수요와 수출을 감소시켜 경제활동을 전반적으로 위축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한국은행은 경기가 지나치게 과열되고 부동산가격이 급등하여 경제불안이 우려되거나 물가 급등으로 인플레이션이 예상될 경우 등에는 기준금리를 인상하고자 할겁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준 금리 인상은 가계와 기업에 모두 부담입니다. 가계는 이자 비용 증가로 가처분 소득이 감소합니다. 기업은 자금 조달 비용이 증가하여 투자를 하지 않거나 줄이게 됩니다. 이런 고금리 상황이 지속될 경우 경기는 침체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미국이나 한국 등의 경우 작년 급격히 금리를 올려 금융정책의 여유가 생겨 올해 하반기에는 금리 인하 가능성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함꼐 올릴수 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기본적으로 기준금리를 계속 올리는 것은 우리나라 경제상황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심할 경우에는 경기침체 우려가 심화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