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아파트 가격은 왜 이리 비정상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서울 집값이 다시 상승을 하다보니
대출규제등의 부동산 대책을 내놓고
집값 안정화를 위한 정책 고민을 하고
있다는 뉴스를 뵜는데
결혼 및 출산을 꺼려 하는 이유가
집을 살수없는 암담한 현실에 대한
죄절감이 한 몫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우리나라 집값은 왜 이리 비정상인
가격을 형성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의 집값이 상승하는 것은 주택이 부족하기 때문인데, 최근 인구 감소에도 1인 가구수가 증가하여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오히려 주민등록세대수는 2024년도 까지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주택보급률도 서울은 93.7로 여전히 부족한 상황인데, 소유 주택에 실제 거주하는 자가점유율은 통계청 2023년 기준 서울은 44.0% 밖에되지 않아 절대적으로 주택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서울에는 예전부터 많은 사람들이 모여 살다 보니 각종 편의시설이 설치되고 교육시설, 공공기관, 교통시설, 판매시설, 문화시설 등등 사람에게 필요한 모든 것이 설치되고 그와 관련한 수많은 일자리가 생기고 다양한 수요와 다양한 공급이 발생하고 제공되었습니다. 정부와 정치인들도 인구수가 많은 곳을 위주로 신경 쓸 수밖에 없어 점점 더 발전하고 사람들을 수용하기에는 주택이 부족하여 이미 포화된 중심지를 벗어나 자꾸 외곽 쪽에 아파트를 건설하는 상황입니다. 지방의 경우는 이와 반대로 투자가 적고 여러가지 시설도 적다 보니 일자리와 즐길거리를 찾아 젊은이들은 도시로 떠나가는 상황이 계속되니 인구는 줄어들고 주택은 인기지역을 제외하고는 남아돌게 되고 있습니다. 국가적으로 장기적인 플랜을 가지고 혁신적인 방법을 동원하지 않으면 점점 더 현 상황이 가속화될 듯합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 가격은 기본적으로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 형성이 됩니다.
특히 서울의 경우 전국적으로 인구쏠림 현상이 강하고 주택 수요가 많은 대신 공급이 적으므로 아파트 가격이 올라가는 것입니다. 특히 강남3구 및 마용성의 경우 교통, 문화, 교육등의 중심이기에 많은 사람들이 살기를 원하나 아파트는 수요대비 공급이 부족하고 똘똘한 한채 현상으로 가격이 매우 비쌉니다. 비교적 외곽이나 지방의 경우 수요대비 공급이 다소 여유가 있을 경우 가격은 비싸지 않습니다. 이럴 듯 아파트는 비싼 곳은 사람들이 몰리는 곳이고 비교적 가장이 싼 아파트는 인구가 적고 주로 외곽이나 지방이라 보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결혼 및 출산을 꺼려 하는 이유가
집을 살수없는 암담한 현실에 대한
죄절감이 한 몫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우리나라 집값은 왜 이리 비정상인
가격을 형성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 우리나라는 적은 국토면적에 인구가 서울을 중심으로 대도시에 집중하고 있고 이 지역은 항상 주택공급이 부족하기 때문에 집값이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어 있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인구의 50% 이상이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고 서울은 의료, 일자리, 교통 정치의 중심지입니다. 모든 인프라가 모여있는 곳입니다. 사람들이 서울에 살아야만 한다라는 구조적 강박을 갖게 만들고 이는 수요증폭으로 부동산 가격 상승세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서울은 신규 택지 확보가 거의 불가능합니다. 재건축, 재개발 외엔 사실상 방법이 없습니다. 하지만 정비사업은 규제, 인허가 과정이 복잡하고 시간도 오래 걸립니다.
공급이 늦어지고 수요는 계속 늘면서 가격이 오르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우리나라 부동산 가격이 일반적인 급여소득자를 고려하면 당연히 매우 높은 게 사실입니다. 다만, 부동산 시장도 결국은 시장경제이고 이는 수요와 공급에 따라 가격이 형성되는데, 수도권에 많은 수요가 집중되고, 공급의 경우 부동산 특성상 시간이나 한정된 부지등으로 자유롭지 않기 때문에 가격은 상승될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사실 이러한 수요의 증가와 수요집중화는 결국 우리나라 사람들 인식에서 부동산 특히 주택의 경우 거주를 위한 부분보다는 제태크로써 투자대상으로 보는 인식이 가능 큰 원인이 될수 있습니다. 거기에 정부의 정책을 통한 시장개입에도 늘 대출한도를 늘려 주택구매를 허용하는 입장이기 떄문에 결과적으로 가격인상이라는 부작용이 더 크게 나타나는 것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은 땅면적이 한정되어있고 공급이 부족해서 많이 오르고 있습니다
직장이 대부분 서울 도심에 있어서 출퇴근이 용이한 지역이라 선호합니다
하지만 그러한 지역의 아파트는 한정적이라 경쟁이 심화되고 있고 좋은 위치의 아파트를 잡기 위해 프리미엄을 지불하는 문화가 됐습니다
노후 아파트도 재건축 기대감으로 가격이 계속 상승하고 있고 실제 거주 가치보다 미래 가치에 대한 투기성 가격 형성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이런 정책들이 나오고 있는데 그에따른 부작용역시 만만치 않습니다
같은 서울이라도 가격적. 차별화가 심해져서 그런부분이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