쇄골 미세 골절인데 수술 가능할까요?
병원 두 군데를 갔더니 쇄골 미세 골절 피로 골절이리거 하더라고요. 근데 계속 그냥 걷고 있어도 아프고 가만히 있어도 통증이 있는데 너무 버티기 힘들 정도로 아픈 거라 이게 수술이 가능한지 여쭤봅니당...
안녕하세요. 오현수 의사입니다.
뼈의 정렬이 흐뜨러지는 정도의 골절이 아닌 미세골절 양상이라면, 보존적 처치가 맞는것 같습니다. 이미 관련해서도 설명을 충분히 들으셨으리라 생각되지만, 수술 적응증까지는 해당된다 생각되지 않습니다. 답변 도움되었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재민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쇄골 골절은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으로는 골절된 부분에 더이상 충격이 가지않게 보호하면서 일상생활 유지하고 지켜보나, 골절의 정도가 심하거나, 특정 위치의 골절이거나, 추적관찰시 뼈가 변형이 심한채로 붙거나 했을 경우 합병증 및 후유증이 생기는 경우도 있으므로 수술 진행하는 정도의 규모있는 정형외과 내원해서 진료 봐보시는게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미세골절의경우 보통은 약을먹으면서 휴식을 취한다면 자연스럽게호전될수있습니다 하지만 골절의 정도가 심하거나 이미 변위가 생긴상태라면 수술적치료를통해서 고정하는것이 중요한데요
좀더 정확한건 병원에서 x-ray검사후에 전문의와 상담을받아보는것이 좋습니다
빨리 몸이 호전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쇄골의 미세골절은 일반적으로 수술보다는 보존적인 치료를 하는 경우가 많으나 말씀하신 것처럼 가만히 있어도 심하게 아프고 일상생활이 힘들 정도로 불편한 상황이라면 수술을 고려하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수술 같은 경우 골절편의 위치가 어긋나거나 심한 경우 또는 피부가 뼈 끝에 눌리거나 뚫릴 위험이 있는 경우 혹은 신경이나 혈관의 손상 가능성이 있거나 여러번 재골절되거나 피로 골절이 반복되는 경우 수술을 고려해볼 수 있으며 통증이 심하거나 불편감이 심하다면 병원에 방문하시어 정확한 상태 재 검사 받아보시고 상태에 맞는 치료 및 처치등을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안녕하세요. 김창래 내과 전문의입니다.
쇄골 골절의 경우 골절로 인한 쇄골의 정렬이 어긋난 경우를 제외하고는 수술적 치료보다는 보존적 치료를 하게 됩니다. 왜냐하면 피로 골절과 같은 경우 수술적 치료시 오히려 수술로 인한 통증이 발생할 수 있고 보존적 치료에 비해 골유합이 더 효과적이지도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통증 조절을 하면서 보존적 치료를 하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동진 물리치료사입니다.
쇄골 미세 골절로 불편이 있으시군요.
미세골절이라면 고정하여 안정을 취해주는 비수술적 치료를 할 수도 있을 것이며 손상 정도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질 수 있을 것입니다.
통증이 심하시다면 정형외과에서 진료 받으시고 적절한 치료 받으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강록 물리치료사입니다.
쇄골 미세골절로 인한 두 병원은 소견이 중요합니다.
두 병원 다 수술이 아닌 비수술 치료를 하자고 하셨는지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만약 통증이 너무 심하다면 약물치료 및 주사치료 등 여러 보존적인 치료가 있지만 수술도 고려해볼수 있습니다.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현상태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시길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적어주신 내용만으로는 골절 정도를 정확히 알기 어려우나 미세 골절의 경우 수술 적응증에 해당 하진 않습니다.
그러나 골절에서 회복 될 때까지 통증이 반복될 수 있어 지속적인 진통제 복용과 가급적 활동을 최소화 할 것을 권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피로골절의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보다는 보존적인 치료방식인 팔걸이와 안정 및 약처방을 통한 경과관찰이 우선됩니다.
그러나 통증이 심하게 지속되시는 경우에는 병원에 다시 방문을 하셔서 현재 상태를 확인하시고, 필요한 치료를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