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근로계약 이미지
근로계약고용·노동
근로계약 이미지
근로계약고용·노동
멋쩍은자라55
멋쩍은자라5522.01.20

계약직 퇴직금 수령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2020.05.01 ~ 2021.05.01 일년 계약조건으로 근무 후 경력단절없이 지금까지 재계약하여 근무하고 있습니다

계약조건이 끝난 2021.05.01 당시에 1년 퇴직금을 정산하였고 퇴사 처리 후 다시 입사하여 동일한 업무로 근무중입니다. 현재 그만둔다면 9개월동안의 퇴직금을 받을 수 없는건가요?

회사에서는 퇴사 처리 후에 다시 입사한것으로 되었기에 퇴직금은 없다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저는 2020.05.01 부터 현재까지 단절없이 일해왔기에 퇴직금을 받을 수 있다 생각하여 여쭤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호정 노무사입니다.

    2021.5.1. 근로관계 단절이

    양 당사자 쌍방의 진의에 의한 진정한 근로관계 단절이라면

    2021.5.1~2022.1월까지 근무 후 퇴직금 수령은 불가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다만, 근로관계 단절이 형식적인 절차에 그친 것 뿐이고,

    근무내용 , 근로조건 등의 연속성이 인정된다면

    2020.5.1부터 2022.1월까지의 재직기간을 기준으로 퇴직금이 산정되어야 할 것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차충현노무사입니다.

    계약시마다 공개채용 등의 절차를 거쳤고, 그 과정에서 계약기간의 단절이 었었으며, 근무내용 및 근무부서가 달라지는 등 근로계약의 동일성 및 계속근로의 기대 가능성 등이 인정될 여지가 없다면, 이는 동일업무에 계속근로를 위한 대기상태가 아니므로 단절 전의 근로계약과 새로운 근로계약은 별개로 보아 따로 기간계산을 해야 할 것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제4조(퇴직급여제도의 설정) ① 사용자는 퇴직하는 근로자에게 급여를 지급하기 위하여 퇴직급여제도 중 하나 이상의 제도를 설정하여야 한다. 다만, 계속근로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 4주간을 평균하여 1주간의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근로자에 대하여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계속근로기간이 1년 이상인 근로자의 경우에는 퇴직금이 발생합니다.

    질문자님의 경우에 퇴직금 정산이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사실상 계속근로기간이 인정된다면 9개월에 대한 퇴직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전재필 노무사입니다.

    근로기준법 제34조 【퇴직금제도】
    사용자는 계속근로년수 1년에 대하여 30일분 이상의 평균임금을 퇴직금으로서 지급할 수 있는 제도를 설정하여야 한다.

    근로기준법 제36조 【금품청산】
    사용자응 근로자가 사망 또는 퇴직한 경우레는 그 지급사유가 발생한 때로부터 14일이내에 임금,보상금 기타 일체의 금품을 지급하여야 한다.

    퇴사처리후 다시 입사를 했다면 퇴직금을 받을 수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승철 노무사입니다.

    이전에 퇴직하고 퇴직금을 받은 것이 근로자가 자의로 사직서를 작성하고 근로관계를 청산한 것이라면 9개월에 대해 퇴직금을 받기는 어려울 것으로 사료됩니다. 그러나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형식적으로 재입사를 하고 퇴직금을 정산 받은 것이라면, 받았던 퇴직금은 부당이득이 되어 사용자에게 돌려주어야 하고 전체 근로기간에 대하여 퇴직금을 다시 받아야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종영노무사입니다.

    1.1주 평균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인 근로자가 만 1년 이상 근속한 경우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에 따라 퇴직금 지급 청구권이 발생합니다.

    2.질의의 경우 퇴직금 정산에 관계없이 실질적으로 고용관계가 지속되어 왔다면 추가적인 근속기간에 대한 퇴직금이 정산되어야 합니다.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제4조(퇴직급여제도의 설정) ① 사용자는 퇴직하는 근로자에게 급여를 지급하기 위하여 퇴직급여제도 중 하나 이상의 제도를 설정하여야 한다. 다만, 계속근로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 4주간을 평균하여 1주간의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근로자에 대하여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