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처서매직
처서매직

미국 금리 인하 기다림 때문에 환율이 급락했는데 무역업계에 호재일까요

환율이 하루에 10원 넘게 떨어졌는데요. 수출기업에는 부담이고 수입기업에는 이득일 것 같습니다. 실제 무역업 현장에서 이런 환율 변동이 바로 체감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환율이 크게 움직이면 무역업체마다 온도차가 큽니다. 수출기업은 달러로 받은 대금을 원화로 환산할 때 수익이 줄어드는 부담이 생기고, 이미 체결된 계약 조건이 환헤지 없이 진행됐다면 타격이 더 크게 다가옵니다. 반대로 수입기업은 원화 강세가 원가 절감으로 직결되니 확실히 숨통이 트입니다. 다만 현장에서 바로 체감된다고 말하긴 어렵습니다. 통상적으로는 선적일과 결제일이 시간차를 두고 오기 때문에 며칠 단위의 환율 급등락은 제한적으로만 반영되고, 오히려 환율이 일정하게 안정되는지가 장기적으로 훨씬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실제 무역업계에서는 크게 체감이 되지 않습니다. 중소기업의 경우에는 체감이 되겠지만 일정규모 이상의 기업들은 대부분 헷징 상품을 통하여 환율에 대하여 손실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범위 내 손실의 경우에는 크게 신경쓰지 않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환율이 급하게 떨어지면 수출기업은 달러로 받은 대금 환산액이 줄어들어 부담이 되고, 반대로 원자재를 들여오는 수입기업은 비용이 낮아져 숨통이 트입니다. 현장에서는 특히 선적 대금 결제일이 겹칠 때 체감이 큽니다. 하루 10원만 움직여도 수십억 원 단위 손익 차이가 나기 때문에 환헤지 안 한 기업들은 즉각적인 충격을 느낍니다. 그래서 무역업계는 환율 변동이 호재냐 악재냐보다 불확실성이 커지는 게 가장 큰 부담으로 작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미국의 금리인하 기대감이 고조되는 가운데 실제 환율이 하락할 여지가 충분히 있습니다. 수출기업에는 수익성악화, 수입기업에는 비용절감 등에 대한 단기적 효과가 이루어질 수 있지만, 환율이 금리 인하라는 재료만으로 움직이지는 않기 때문에 꾸준한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수출기업은 환율 변동에 따른 리스크 관리, 수입기업은 비용절감 가능 여부 등을 확인하여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