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고용·노동

임금·급여

심각한꾀꼬리147
심각한꾀꼬리147

연차수당의 퇴직금 산입여부와 방법에 궁금합니다. 이게 맞을까요?

안녕하세요!

연차수당 퇴직금 산입관련해서 문의드립니다.

퇴직 시 연차수당은 전전년도 미사용분 (전년도정산분) 산입으로 알고 있습니다.


▶ 21.05.25~23.05.24 A근로자


※ 연차사용일


ㆍ21년 21.07.12

21.08.09

21.09.14

21.10.18

21.11.15

-----------------------------

ㆍ22년 22.03.21

22.04.18

22.06.13

22.07.11

22.08.08

22.10.17

22.11.14

-----------------------------

ㆍ23년 23.02.01

23.03.20

23.04.17

23.05.22

2년 만근 퇴사 시 연차수당 26개의 미사용분에 대해 퇴직금 산입을 했습니다.

이럴 경우의 연차수당의 퇴직금 산입 계산법과, 산입여부관련해서 궁금합니다.

→ 이럴 경우의 연차수당의 퇴직금 산입 계산법이 맞는지 다르다면 정확한 계산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추가적으로 질문드리자면,

① 정산분(미사용분)에 대한 퇴직금 산입이 맞을까요?

21년 발생분 11개 중 7개사용, 잔여4개의 연차수당이 퇴직금 산입 (연차수당*3/12)

: 발생일 기준으로 미사용분을 확인해서 산입을 해야하는 게 맞는건지,

- 21.05.25~22.05.24 (11개 발생, 7개 사용)

- 22.05.25~23.05.24 (15개 발생, 9개 사용)


⑵ 21년,22년 전체 26개 중 16개사용, 잔여10개의 연차수당의 퇴직금 산입

: 21.05.25~23.05.24 (26개 발생, 16개 사용) 퇴사로 10개 정산

- 이 경우에는 (연차수당의/12) 이 계산으로 산입해도 무방한지..

21년 미사용분에 대한 걸 정산해준 적 없고, 23년 퇴사시 전체 정산했음


③ 21.05.25~22.05.26 (1년 1일근무)

이 경우는 퇴직금에 잔여연차수당의 산입이 필요할까요?

: 1년이상 2년미만 근로자의 잔여연차수당의 퇴직금산입 여부와 계산법이 궁금합니다.


④ 퇴직금에 산입 시,

회계연도 기준 or 입사연도 기준 → 어떤 기준의 연차발생분을 넣어야 하는게 맞을까요?

회사의 취업규칙에 따라야하는건가요?

퇴직금 산입여부관련해서 질의했을 때, 견해가 다르셔서 그런지

너무 다른 대답들을 받아서 이렇게 정리해서 질문드립니다.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하기 이미지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