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과질환치료발전에대해궁금합니다.
가까운 미래에는 녹내장같은 질환도 실명을 예방또는 막는 치료기술이 실현 가능성이 궁금합니다 지금은 시신경이 회복이 거의어려운걸로 아는데 시신경이 재생치료등 개발가능성이 긍긍합니다
녹내장과 같은 질환으로 손상된 시신경을 재생하는 치료 기술은 현재 연구 개발 단계에 있으며, 가까운 미래에 실명 예방이 가능해질 수도 있습니다. 현재는 안압을 낮추는 약물이나 수술이 주된 치료법이지만, 손상된 시신경 자체를 복구하기 위한 줄기세포 치료, 유전자 치료, 그리고 신경보호 기술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특히 유도만능줄기세포를 활용하여 시신경 세포를 재생하는 연구는 동물 모델에서 효과가 입증된 사례가 있으며, 일부 임상 연구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이 상용화되기까지는 추가적인 연구와 임상시험이 필요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질문해주신 것과 같이 안과 질환, 특히 녹내장과 같은 질환은 현재 의학에서도 여전히 난제로 꼽히는 분야인데요 말씀하신 것처럼 지금까지는 손상된 시신경이 자연적으로 재생되지 않기 때문에 근본적인 치료가 어렵고, 주로 안압을 낮춰서 추가적인 손상을 막는 방식으로 치료가 이루어져 왔습니다. 즉, 이미 손상된 시신경 축삭이나 망막신경절세포는 스스로 재생하지 못하므로 현재 치료는 ‘진행 억제’가 주목적이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신경과학, 재생의학, 유전자 치료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시신경 재생이나 신경 보호를 목표로 하는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그 예시로는 줄기세포 치료가 있는데요, 배아줄기세포(ESC), 유도만능줄기세포(iPSC)에서 망막신경절세포(RGC)나 지지세포를 분화시켜 이식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며, 해당 연구의 목표는 손상된 신경세포를 대체하거나 지지해 시각 경로를 회복하는 것입니다. 현재는 동물실험 단계에서 일정 부분 시야 회복 사례가 보고된 바 있습니다. 이외에도 유전자 치료에 대해서도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신경세포의 사멸을 막는 보호 단백질 발현을 유도하거나, 축삭 성장 억제 인자를 억제하는 방식인데요, 예를 들어서 PTEN을 억제하여 시신경 축삭 성장을 촉진시키는 연구가 진행 중이며, CRISPR 기반 교정 연구도 일부 진행 중에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말씀하신 것처럼 미래에 녹내장으로 인한 실명을 예방하거나 되돌리는 치료 기술이 개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 녹내장 치료는 안압을 낮춰 시신경 손상 속도를 늦추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손상된 시신경을 직접 재생하는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이며 아직 연구 단계이긴 하지만 최근 줄기세포 치료, 유전자 치료, 그리고 신경 재생 촉진 연구에서 괄목할만한 성과들도 나오고 있습니다.
그래서 가게는 앞으로 5-10년 내에 기존 치료법과 결합된 복합적인 치료법으로 상용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