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엄청난오솔개119
엄청난오솔개11923.02.27

컨테이너로 수출시 fcl과 lcl차이는 뭔가요?

말 그대로 컨테이너로 물건을 수출할 때 FCL컨테이너와 LCL컨테이너 두컨테이너의 차이점과 각 컨테이너의 장점을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유영 관세사입니다.

    FCL 과 LCL은 컨테이너의 종류가 아닌 수출입시 운송에 사용하는 컨테이너에 채워 넣은 상태를 구분하는 용어입니다. 간단히 내 물건이 한 컨테이너를 꽉 채우고 다른 회사의 물건과 섞여서 들어가지 않은 상태이면 우리 회사의 물품이 FCL 화물이 되는것이고, 우리 회사의 물건이 한 컨테이너를 채우기는 부피가 적어 다른 회사의 물품과 함께 한 컨테이너안에 같이 적재를 하면 우리 회사의 물품이 LCL 화물이 되는 겁니다.

    LCL과 FCL에 대한 자세한 비교 및 설명 링크 걸어드립니다.

    https://www.tradlinx.com/blog/guide/lcl-vs-fcl-%EB%B9%84%EA%B5%90%ED%95%98%EA%B8%B0/


  •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

    FCL은 Full Container Load의 약자로 컨테이너 단위로 운송되는 화물을 말합니다. 반면에 LCL은 Less than Container Load의 약자로서 컨테이너 한 개에 다 채우기에는 화물량이 부족한 경우에 해당합니다.

    포워더나 선사에서는 LCL화물을 그대로 운송할 수 없기 때문에 LCL Cargo를 합쳐서 FCL로 만들어 운송을 합니다. 이 작업을 Consol이라고 하는데 물론 LCL을 FCL로 만들려면 소형화물을 같은 목적지로 운송하려는 여러 화주가 있어야 가능합니다.

    또한 FCL화물의 경우 통상 보세장치장인 CY(Container Yard)에 일시 장치보관되거나 부두직통관후 반출의 경우 부두에서 바로 화주에 의해 자가운송 되어지며, LCL화물의 혼재(Consolidation)작업을 하는 장소를 CFS창고(Container Freight Station)라고 합니다.

    FCL과 LCL은 운송 형태의 차이고 결국에는 FCL로 합쳐지는 것이기에 장단점이라는 것은 없습니다. 소형 화주의 경우 LCL로 FCL 컨테이너로 만들어 이용하는 것이고 대형 화주의 경우 FCL로 이용하면 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답변 내용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박재민 관세사 드림


  •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


    문의주신 용어에 대한 답변드립니다.


    1. FCL은 Full Container Load의 약자로, 하나의 회사가 자사의 화물로 단독으로 한 컨테이너를 모두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컨테이너 운송은 보통 컨테이너 단위로 진행되기 때문에, 컨테이너 한대를 단독으로 사용하면 신속하게 운반되는 장점이 있지만, 자사의 화물로 컨테이너 용량을 다 채우지 못해도 컨테이너 한대의 운송 비용을 지불해야 합니다.


    따라서, DEAD SPACE를 줄이기 위해 수출자는 적절한 적재 수량을 계산하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화물을 포장하여 컨테이너에 화물을 적재해야 합니다.


    2. LCL은 Less than Container Load의 약자로, 운송사에서 소량의 화물을 모아서 한 컨테이너를 꽉 채우는데, 한 개의 컨테이너에 여러 회사 화물이 섞여있는 것을 말합니다.


    LCL은 컨테이너를 단독으로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운송사는 여러회사의 화물을 적재하면서 DEAD SPACE를 최대한 줄이려 노력하기 때문에 비용적으로 FCL보다 유리합니다.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FCL은 Full Container Load의 약자로 컨테이너 단위로 운송되는 화물을 말합니다. 쉽게말해 한명의 화주가 하나의 컨테이너를 모두 채울 수 있을때를 말합니다.

    반면 LCL은 Less than Container Load의 약자로 하나의 컨테이너를 한명의 화주가 채우지 못하는 경우 복수의 화주가 하나의 컨테이너를 활용하는 상황을 말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두가지는 화주의 입장에서 컨테이너 적입을 어떻게 하냐에 따라 구분됩니다.

    먼저, FCL은 Full Contianer Load로 한 화주의 화물이 컨테이너 1개를 전체다 차지하는 경우를 뜻합니다. 이러한 경우 컨테이너 분류작업이 별도로 필요없고, 다른 화주의 화물로 인하여 화물이 파손될 우려가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일정 물량이상이 아니라면 FCL은 컨테이너 1개를 전부 사용하는 것이기에 비용이 비싸다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LCL의 경우 Less Container Load로 여러 화주의 화물이 컨테이너 1개에 혼재되는 경우를 뜻합니다. 이러한 경우 컨테이너 분류작업을 따로 진행하게 됩니다. 다만, 이런 경우 운송료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해상운송화물들은 소량화물이기에 LCL로 운송되며, 컨테이너 1개 이상의 화물을 운송할때는 FCL을 통하여 운송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하며, 도움이 되신 경우 추천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재상 관세사입니다.

    FCL, LCL 개념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1. FCL ( Full container load )

    FCL은 Full container load의 약어로써 하나의 수출자가 하나의 컨테이너 전체를 다 채워서 선박에 선적을 진행할때 선사의 입장에서 해당 컨테이너를 FCL컨테이너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여러명의 수출자가 적입작업하여 하나의 컨테이너를 공유하면 이를 LCL ( Less than a container load ) 라고 부릅니다

    FCL 컨테이너는 그렇기 때문에 1개 혹은 수개의 컨테이너에 1개의 B/L이 발행될 수 밖에 없고, LCL 컨테이너는 여러 수출자가 해당 컨테이너를 공유하기 때문에 1개의 컨테이너에 여러개의 B/L이 발행됩니다.

    다만, 예외적으로 1명의 수출자가 1개의 컨테이너에 적입을 하지만 해당 컨테이너 안에 물건이 도착지 국가에서 2명의 수입자에게 나뉘어 판매가 되는 경우는 1개의 컨테이너임에도 2개의 B/L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아예 수출지 작업장에서부터 1개의 컨테이너에 여러명의 서로 연관이 없는 수출자가 공간을 나눴다면 이를 LCL로 규정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컨테이너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DRY CONTAINER ( 20ft, 40ft, 40hc, 45ft ) CBM 산정법입니다

    2) LCL ( Less than a container load )

    20FT DRY CONTAINER 내부 용적이 33.2CBM이며 해당 공간은 굉장히 큰 공간입니다. 많은 물품을 보내는 수출자의 경우는 문제가 없지만, 몇박스 밖에 안되는 물품을 보내려고 하는 경우에는 용적이 얼마 안되기 때문에 컨테이너 전부를 쓰는건 사실 비용 낭비입니다.

    이렇게 소량의 물품을 수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LCL서비스를 이용합니다. 이와 별개로 FCL 및 LCL이라는 개념은 해상운송에서만 사용하는 개념이며, 항공운송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개념입니다.

    3. FCL 및 LCL의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