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를 통제하는것보다 자유롭게 놔주는게 좋을까요?
이번에 친구 부부와 같이 키즈카페에가서 같이 놀았는데 저희 부부가 아이의 행동 및 예의없음 등을 지적하고 혼내는걸 보고 아이를 너무 잡는거 아니냐는 말을 들었습니다. 아이를 꽉 잡는 것보다 자유롭게놔주는게 필요한가요??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를 지나치게 통제하면 자율성과 자신감이 낮아지고, 너무 자유롭게 두면 기본 예절과 규범을 배우기 어렵습니다. 상황에 맞는 균형이 중요합니다. 안전과 타인 존중, 기본예절은 일관되게 알려주되, 놀이와 선택에서는 스스로 경험할 기회를 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잘못된 행동과 예의가 없는 부분이 있었다 라면 적절한 훈육을 통해 아이의 잘못된 부분을 바로 잡아주고
그 잘못된 부분을 개선시켜 주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훈육은 많은 사람들이 보이는 곳에서 하긴 보담도 사람들이 보이지 않는 공간에서 훈육을 하는 것이
아이의 자존감을 지켜줄 수 있다 랍니다.
많은 사람들 앞에서 혼이 나게 되면 아이의 자존감은 무참히 짓밟혀 상처를 입고, 창피함을 느끼고, 자신은
아무런 존재가 없는 사람을 느끼면서 사회 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큰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 랍니다.
그리고 아이를 너무 거세게 몰아치긴 보담도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보며 적절하게
훈육을 해주는 것도 필요로 합니다.
아이의 정신적 + 심리적인 부분의 헤치지 않으면서 아이의 행동지도를 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무엇보다 통제와 자유를 적절하게 조화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자유와 책임은 함께 자라야 합니다. 아이에게 자유를 주는 건 중요하지만, 그 자유가 다른 사람에게 불편을 주지 않도록 책임감을 함께 가르쳐야 합니다.
지적을 할 때는 사랑의 언어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건 너를 사랑해서 말하는 거야. 네가 더 멋진 사람이 되길 바래서 그래' 같은 말은 아이에게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공공장소에서는 아이의 행동이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더 섬세하게 관찰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의 성향과 가족의 가치관에 맞는 교육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