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인일시지분 면백일지우
인일시지분 면백일지우

protease 는 단백질분해효소인데 이는 췌장염에 좋은게 아니라 epi 에 효과가 있는것이고 췌장염에는 단백질분해효소가 아닌 단백질분해효소억제

성별
남성
나이대
50

protease 는 단백질분해효소인데 이는 췌장염에 좋은게 아니라 epi 에 효과가 있는것이고 췌장염에는 단백질분해효소가 아닌 단백질분해효소억제제를 써야 맞는게 아닌가요?

췌장염에서는 단백질분해효소억제제가 사용되고 이는 단백질분해효소가 과도하게 활성화되어 췌장 내에서 손상을 일으키는 것을 막기 위해서이고

EPI에서는 소화효소가 부족하므로 단백질분해효소를 포함한 보조제를 사용하여 정상적인 소화 기능을 회복시키는것이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급성 췌장염은 단백질 분해효소 억제제를 사용하고 EPI 외분비췌장기능부전은 단백질 분해효소 보충제를 사용합니다.

    급성 췌장염에서는 췌장에서 단백질 분해효소가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되어 자기 조직을 소화하면서 췌장에 손상을 주기 때문에 단백질 분해효소 억제제를 사용하여 췌장 내에서의 과도한 효소 활성화를 막습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췌장염에서는 단백질분해효소가 과도하게 활성화되어 췌장 손상을 초래하므로 단백질분해효소억제제를 사용합니다. 반면, 외분비 기능부전(EPI)에서는 소화효소가 부족해 단백질분해효소를 포함한 보조제를 통해 정상적인 소화 기능을 회복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상황에서 따라서 접근 방식이 달라질수있습니다

    자세한건 병원에서 전문의와상담을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맞습니다 췌장염애서는 단백질 분해효소가 과도하게 활성화되어 췌장 손상을 초래할 수 있어 단백질 분해효소 억제제가 사용됩니다. 염증을 줄이고 췌장 기능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반면 외부 췌장 기능 부전에서는 소화 효소가 부족하므로 단백질 분해효소를 포함한 보조제를 사용해 소화 기능을 회복합니다 따라서 두가지 상황에서 사용하는 효소의 종류와 목적이 다릅니다! 이런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해요!

  •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췌장염은 췌장 내부에서 단백질 분해효소가 과도하게 활성화되어 췌장조직에 손상을 가하는 상태인데요, 단백질분해효소 억제제를 통해서 효소를 억제하고 염증을 완화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또한 외분비성 췌장기능 부전은 췌장에서 소화효소가 충분하게 분비되지 않아 소화게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단백질 분홰효소 및 소화효소 보조제를 이용하여 소화기능 회복을 도와주는 것이 적절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췌장염에서는 췌장 내에서 활성화된 소화효소가 췌장을 공격하는 것이 문제이므로 단백질분해효소억제제(예를 들어 Gabexate, Nafamostat)를 사용하여 이를 억제하는 반면, EPI에서는 췌장이 충분한 소화효소를 분비하지 못해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소화가 어려워지므로 외부에서 Protease가 포함된 소화효소 제제를 보충하는 것이 도움이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뭔가 궁금하신 것이 있는 것 같은데 커뮤니케이션이 쉽지 않는 것 같습니다

    약물이 궁금하신 것이죠?

    그러면 질환면 약물명 궁금한 내용을 다시 한번 알려주시겠어요?

    epi는 무엇의 약자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