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기타 육아상담

눈에띄게딱딱한라임나무
눈에띄게딱딱한라임나무

아이가 자꾸 본인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네요

분명히 아이가 잘못을 해서 아이를 혼내고 다시 하지 못하게 하려는데 아이가 본인 잘못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증거도 있고 아이 잘못이 맞는데 본인은 잘못한게 없다고 바락바락 악을 쓰는데 너무 화가 납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본인의 잘못을 절대로 인정하지 않는 이유는

    인정하는 것 자체가 자신의 잘못된 행동으로 여겨질 수 있다 라는 심리적인 부분의 감정이 크게 차오르기 때문 일 것입니다.

    아이의 잘못된 행동을 훈육을 하기 전

    부모님은 아이가 왜 이러한 행동을 하게 되었을지 그 배경과 원인을 파악하고 아이의 시선으로 바라보면서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로 합니다.

    아이의 마음이 충분히 이해가 되었다면, 부모님의 감정을 릴렉스를 하고, 아이의 훈육을 시작하는 것이 좋아요.

    아이를 훈육할 때는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보면서 옳고 그름을 알려주는 것이 좋구요.

    또한, 아이의 감정을 충분히 공감한 후에 부모님의 생각을 전달을 하는 것이 필요로 하겠습니다.

    아이가 악을 쓰면서 부모님에게 대를 때는

    아이의 행동을 제지하고 아이를 사람들이 보이지 않는 방 안으로 데리고 들어가 아이를 앉히고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자신의 행동이 잘못된 부분이 없다고 해도 어른에게 큰 소리를 치면서 악을 바락바락 쓰면서 자신의 감정을 전달하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단호하게 말을 전달을 해준 후, 왜 이러한 행동이 옳지 않은지를 아이의 이해를 도와가며 눈높이 설명을 해주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아이가 본인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을 때 어떻게 하면 좋을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

    가장 우선적으로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ㅁㅁ행동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양육태도 유형 중에서 '민주적 권위형' 양육태도가 친구 같은 아빠(엄마) 유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흔히 버릇이 나빠지지 않을까 염려할 수도 있습니다.

    친구처럼 가깝게 지내는 민주적 권위형 부모는 아이의 의견을 잘 수렴합니다.

    또 아이가 잘못한 것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타이르는 방식으로 훈육합니다.

    결국 아이는 정서 지능이 높아지고 스스로 선택과 결정을 하는 자율성과 판단력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잘못을 인정하도록 명확한 근거를 준비하세요 잘못을 인정하게 하는 것도 교육입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보육교사입니다.

    부끄러워서 그럴수 있고 자신의 잘못을 잘 인지못해서 그럴수있어요

    이럴땐 차분한 설명을 해주고 수정을 알려주는게 좋고 아이 감정에 휩쓸려화내지 않는게 필요합니다.

    보통 이런걸 인정하지 못하는경우라면 이전부터 아이에 대한 훈육이나 교육이 감정적으로 이루어진경우가 많답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잘못을 인정하지 않을때는 무조건 혼내기보다 감정을 먼저 다독이고 이해하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아이가 방어적으로 나오는 건 두려움이나 자존심 때문일수 있습니다. 먼저'네가 이렇게 행동해서 엄마가 속상했어'처럼 자신의 감정을 솔직히 표현하고 아이가 느끼는 감정도 들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