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알뜰한참매216
알뜰한참매21623.12.10

일본은 왜 우리나라보다 먼저 미국의 서양문물에 길들여졌나요?

일본은 동아시아 치고는 서양문물에 의존하는 기질이강한 것 같아요.

아시아에 다른 나라 사람들은 동양의 옛 전통을 지키려다가 서양인들에게 식민지로 땅을 빼앗기고 당했는데요.

또 아주 먼 옛날 조선시대까지는 서양 문물이 적었는데 오랜 시대가 흘렀던 산업화 이후로 더 서양문화가 뒤늦게 들어왔죠.

또 일본 사람들이 미국제품들을 소비하는 경우도 많고요.

왜 일본이 우리나라보다 먼저 미국에 의존하고 서양문물을 받아들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경훈 관세사입니다.

    일본은 우리나라보다 미국에 더 가깝습니다. 따라서 일본은 미국의 영향을 더 쉽게 받아들일 수 있었습니다. 또한, 일본은 우리나라보다 해양에 더 오픈된 국가였습니다. 따라서 일본은 서양 문물과 교류할 기회가 더 많았습니다. 추가로 일본은 우리나라보다 사회 개방성이 더 높았습니다. 일본은 메이지 유신 이후 봉건 제도를 폐지하고 근대적인 사회 구조를 수립했습니다. 따라서 일본은 서양 문물을 받아들이는 데 더 개방적이었습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일본은 1853년 미국의 페리 제독이 일본을 강제 개항시킨 이후 서양 문물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였습니다. 일본은 1868년 메이지 유신을 통해 근대화를 추진하면서 서양 문물을 더욱 빠르게 받아들였습니다. 일본은 미국의 교육제도, 법률, 군사제도 등을 도입하고, 서양 문학, 예술, 과학 기술 등을 수용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일본은 19세기 중반에 서양 열강에 의해 강제로 개방되기 이전부터 서양 문물에 대한 관심과 수용의 움직임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크게 네 가지 요인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에도 시대의 쇼군 체제는 막부와 지방 다이묘로 이루어진 중앙집권적 체제였습니다. 막부는 전국의 군사, 행정, 경제 등을 통제하여 안정적인 통치를 유지했습니다. 이러한 안정된 정치적 환경은 문화 및 경제의 번영을 기반으로 했으며, 그로 인해 서양 문화에 대한 개방적인 태도를 촉진했습니다. 또한 17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초반까지, 일본은 네덜란드 상인들을 통해 서양 문물을 수입했습니다. 또한, 일본의 지식인들은 서양의 과학, 기술, 문학 등을 번역하여 습득하려는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이러한 수입 및 번역 활동으로 인해 서양 문물에 대한 이해가 높아졌고, 이를 바탕으로 서양 문물의 수용과 흡수가 이루어질 수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문의하신대로 일본이 우리나라보다 그런 경향이 다소 있는 것으로 보여지며, 예를들어 아이폰만 해도 일본 내에서 점유율이 상당합니다. 일본은 아무래도 우리나라보다 일찍 개항하여 외국문물을 비교적 빨리 받아들여서 근대화에 빠르게 안착하였습니다. 물론 의존하는 부분은 국민성 그리고 산업 발전도 및 여러가지 측면을 고려해야하기 때문에 딱 어느 하나 때문이라고 말할 수 없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역사적으로 그 당시 일본은 포르투갈 등 서구의 문물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도 있었으며 처음에는 당연히 약간의 저항과 거부감이 있었겠지만 서구 역시 자연스럽게 종교와 함께 전파하는 등 현지화 전략을 취했을 것으로 보여지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일본의 근대화 시기에 서양문물을 받아들인것에 대한 내용은 메이지유신 등을 생각해볼 수 있는데, 일본은 부국강병의 기치 하에 유럽과 미국의 근대 국가를 모델로 하여 여러가지 개혁의 내용을 받아들였습니다.

    또한 일본은 여전히 미국과 가까운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데, 이는 미국의 동아시아 안보라인을 구축하는데에도 일본의 역할이 굉장히 크기 때문일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는 역사적으로 일본이 먼저 개방을 하였기 때문입니다. 일본은 메이지 유신 등으로 상대적으로 한국보다 먼저 개방을 하여 서양문물에 친숙하였으며, 6.25 전쟁으로 인하여 한국보다 더 빠르게 경제성장을 이룩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미국 문화를 더 적극적으로 받아드리게 되었고 따라서 거부감이 더 낮아진 것으로 판단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일본은 19세기 후반부터 근대화를 추진하면서 미국을 주요 모델로 삼았으며, 미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미국의 영향을 받아왔습니다. 또한, 일본은 변화와 개방에 상대적으로 개방적이었습니다. 일본은 전통적으로 변화와 개방에 상대적으로 개방적인 문화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서양 문물에 대한 수용도 비교적 용이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