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성종의 지시로 편찬한 악학궤범에는 어떤 것들이 기록되어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493년 예조판서 성현, 장악원제조 유자광, 장악원주부 신말평, 전악 박곤, 김복근 등은 왕명을 받아 당시 장악원에 있던 의궤와 악보고 오래되어 헐었고 요행히 남은 것들도 모두 엉성하고 틀려, 그것을 수교하기 위해 새로운 악규책을 편찬하게 되었습니다.이 책에는 동동, 정읍사, 처용가, 여민락, 봉황음, 북전, 문덕곡, 납씨가 , 정동방곡 등의 가사사 한글로 정착되어 실려있으며 궁중의식에서 연주하던 아악, 당악, 향악에 관한 여러 사항을 그림으로 풀어 설명하고 그 밖에 악기, 의상, 무대장치 등의 제도, 무용의 방법, 음악이론 등을 자세히 적고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30
0
0
우리나라에 사탕은 언제부터 보급되기 시작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서양식 과자로 비스킷, 사탕, 껌 등은 개항기 이후인 1884년 무렵 손택이 정동구락부를 개설하여 서양 음식을 소개한 이후부터 우리나라에 도입되었습니다.우리나라 최초의 사탕으로는 1946년 출시된 해태캬라멜 입니다.
학문 /
역사
23.06.30
0
0
해외 고대 동상 원래 색깔이 있다던데 맞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브링크만과 다른 많은 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석상들은 피부와 머리카락, 옷, 장식이 밝고 화려한 색으로 칠해져있었는데 파괴되지 않고 후세에 전해진 조각상들은 햇볕과 비바람에 노출되어 수백년이 지나는 동안 물감을 잃었고, 땅속에 묻혔다가 꺼낸 조각의 표면에 남아있는 물감은 발굴한 사람들이 흙을 털어낼때 함께 떨어져나갔다고 합니다.그 결과 르네상스 시절에 이르면 고대 조각상들은 모두 우리가 아는 하얀대리석이었고, 르네상스라는 단어가 의미하듯 과거를 되살리려 했던 당시 예술가들이 자신의 작품에 색을 칠하지 않았습니다.
학문 /
미술
23.06.30
0
0
사섭이라는 인물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삼국시대 오나라 창오 광신 사람으로 자는 위언 입니다. 젊어서 낙양에 들어가 유자기로부터 춘추좌씨전을 배웠고 효렴으로 천거되어 상서랑이 되었는데 어떤일로 면직되었으며 나중에 무재로 천거 받아 거듭 승진하여 교지태수까지 올랐습니다.한나라 말기 세상이 크게 혼란해졌지만 한 지역을 다스리면서 공직을 충실히 지켜 안원장군에 임명, 건안 말 손권에게 귀부하여 익주의 호강인 옹개가 오나라에 귀순하도록 유도하였고, 위장군으로 옮긴 뒤 용편후에 봉해졌습니다.성격이 관대하고 후덕했으며 지방관으로 40년동안 있으면서 겸허하게 처신하여 중원의 인사로 피난을 와 의지한 사람이 수백명에 이르렀으며 춘추를 좋아해 주를 달았다고 전해집니다.
학문 /
역사
23.06.30
0
0
부산의 조선시대 모습은 어떠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부산의 지명은 부산포에서 유래된것으로 15세기 전반까지는 부산포라 했고, 15세기 후반에 이르러 지금 동구 좌천동에 있는 증산의 모양을 따 부산이라 불렀습니다.조선시대 부산포는 당시의 독립된 지방행정 단위는 아니었고 초기 동래현과 그 속현이었던 동평현의 관할 아래 있었고 그 후 계속해서 동래도호부의 구역내에 포함되어있었습니다.조선 태조 6년 동래에 진이 설치되고 병마사가 동래의 행정관인 판현사가 겸임, 동래현의 속현인 동평현은 고려 때는 양주의 영현이었으나 태종 5년 동해현의 속현이 되었고 동왕 9년 다시 양주에 속했다가 그 후 세종 5년 병마사가 첨절제사로 개칭, 판현사를 겸했습니다. 세종 10년 다시 동래현의 속현으로 현령의 행정적인 지휘감독을 받으며 그 후 속현제도가 없어짐에 따라 동래현에 통합되었으며 세종 22년 부산포에 일본인의 내왕이 빈번하자 진을 속현인 동평현으로 옮겼다가 동래로 환진, 다시 판현사를 현령으로 바꾸었습니다.그후 명종 2년 도호부로 승격시켜 무관을 부사로 임명, 그 아래 판관을 두었으나 선조 34년 외교상의 사정을 감안 당상의 문관을 부사로 삼고 판관제도를 폐지합니다. 효종 6년 동래부에 독진을 설치, 숙종 16년 부사가 방어사를 겸임하게 되나 2년 후 방어사는 없어졌고 영조 15년 부사가 동래성과 금정산성의 수성장을 겸임해 고종 32년 까지 계속됩니다.군사적으로는 고려말부터 계속되는 왜구의 창궐로 그 폐해가 심해 태종 7년 부산포와 내이포 두 곳에 왜관을 두어 일본인의 내왕과 함께 교역을 허용하나 왜구의 침탈이 계속되자 세종 원년 왜구의 소굴이었던 대마도를 정벌하고 이 후 왜의 국교 재개의 간청에 따라 세종 5년 부산포와 내이포에 다시 왜관을 두고 동왕 9년 울산 염포에 왜관을 설치합니다. 세종 25년 계해약조를 맺어 무역선의 수와 세사미두의 수량을 제한하기도 했습니다.삼포의 왜관은 지역을 제한하고 임진왜란 후 동래부사가 일본사신을 접견, 왜관에서만 왜인들의 거주가 허락되었고 왜관 주위에는 복병막소를 설치해 왜인은 물론 조선인의 출입을 통제, 허가를 받은 사람만 출입이 허용되었습니다. 부산포에 설치된 왜관의 변천은 태종대에서 중종 5년 경오왜변 이전까지는 부산포왜관, 선조 36년 잠시 절영도왜관에 있었고 선조 40년 두모포왜관, 숙종 4년 ~고종 13년 까지 초량왜관이 존속하다 1876년 강화도조약 체결 후 진관거류지로 바뀌었습니다.부산은 나라의 관문이었기 때문에 국방상 요충지였으니 금정산성은 그 규모로 볼때 국내 최대의 산성이며 국방시설도 발달하여 지금의 수영에는 경상좌도 수군절도사영이, 부산진에는 부산진영이 설치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30
0
0
스마트폰의 대중화, 모바일게임의 역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90년 한국 모바일게임 태동기로 휴대폰의 보급률이 늘어나면서 휴대폰 기반의 여러 산업들이 나타났고, 1997년 세계 최초 모바일게임인 스네이크 출시, 흑백 휴대폰인 노키아 6110에 탑재됩니다.1998년 모바일 게임 전문 한국 게임사인 컴투스가 탄생되며 1999년 컴투스가 LG텔레콤에 퀴즈 심리테스트, 다마고치 등의 5개 모바일 게임을 서비스했고 이는 한국 최초의 모바일 게임입니다.
학문 /
역사
23.06.29
0
0
김구 선생님이 젊은 시절 일본인을 왜 죽인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896년 3월 김구가 무장상태의 일본인 쓰치다 조스케를 살해한 치하포 사건은 백범일지의 기록에 의해 김구가 명성황후 시해 이후 일본 군인을 죽인 의거라고 알려져있습니다.김구는 국모를 시해한 일본인을 살해하여 원수를 갚고자 한 것이라 주장, 살해 후 그가 일본군 장교라는 것을 알게되었다고 말하는데 일본측의 기록에는 쓰치다 조스케가 쓰시마 섬의 이즈하라 출신 상인이며 계림장업단이라는 상회에 소속되어있었다고 합니다.을미사변 관련인을 처단한 것이라는 김구의 증언과 계림장업단 소속의 약재상을 살해하고 엽전 800냥을 갈취했다는 일본 측의 기록에는 모두 당시 정황과 어울리지 않는 부분으로 논란이 되는 사건이며, 사건 당시 을미사변에 관련된 일본인들은 일본 형무소에 수감되어있던 관계로 김구의 증언이 잘못되었다는 의견이 있으며 이 사건은 1896년 3월 9일인데 그 살해당했다는 상인이 소속되어 있다는 계림장업단이 생겨난 것은 1896년 5월 17일인 오류가 있으며 엽전 800냥도 김구가 가져간 것이 아니라 주막 주인이 그대로 갖고 있었다는 기록이 있어 일본이 정치적 필요에 따라 이 사건을 우발적인 강도살인으로 왜곡했다는 설도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29
0
0
온달 장군이 외국인일 가능성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온달이 토착 고구려인이 아니라 고구려로 귀화한 서역 출신 이민족이라는 설 중 이란계인 소그드인이었을 가능성이 2001년에 제기되었으나 신빙성이 없는 것으로 여겨집니다.이 주장은 2011년 조선티비의 인턴기자에 의해 서술된 한 교수의 주장으로 그 연관성으로 주장된 중국의 고문서 구당서는 집편년도가 945년, 신당서 역시 1060년으로 590년에 사망한 고구려 무신 온달 장군의 인종이나 출신을 추정할 문서로는 타당성이 전혀 없으며 사마르칸트 라는 왕조가 있었다는 내용을 찾을 수 없습니다.
학문 /
역사
23.06.29
0
0
조선시대에도 소방관 비슷한 직업이 있었다는게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에도 현재의 소방관 같은 멸화군이라 칭하는 것이 있었습니다.멸화군은 24시간 대기하면서 불이 나면 쇠갈고리와 밧줄 등을 들고 현장으로 출동해 불을 끄는 일을 맡았습니다.
학문 /
역사
23.06.29
0
0
우리나라 최초의 복권은 언제부터 시작된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최초 복권은 해방 직전인 1945년 7월 일본이 군수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한 승찰 이라는 복권입니다.
학문 /
역사
23.06.29
0
0
1027
1028
1029
1030
1031
1032
1033
1034
10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