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의균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의균 전문가입니다.

김의균 전문가
논현재활병원
재활·물리치료
재활·물리치료 이미지
Q.  무릎에 자꾸 물이 차서 빼내고 있는데, 어떻게 치료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무릎에 물이 차는 것은 활액낭이 과도하게 분비되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주로 염증에 의해서 발생합니다. 무릎에 염증이 자주 차는 이유는 아무래도 관절의 안정성이 떨어지다 보니 그로 인해서 마찰이 발생하면서 염증으로 인해 활액낭이 과도하게 분비되면서 발생 할 수 있습니다. 무릎의 안정성 강화를 위한 운동 및 염증을 일으키는 원인에 대한 치료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안정성 뿐만아니라 만약 무릎 주변의 연부조직의 손상이 있다면 그로 인해서 안정성이 떨어졌을 수도 있기에 상태에 맞는 치료를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무릎의 안정성 강화 운동으로는 큐세팅 운동이 있는데 허벅지 대퇴사두근의 운동으로 무릎 뒤 오금에 수건을 말아서 껴주시고 오금으로 수건을 누르면서 무릎을 펴는 운동을 해보시면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안녕하세요 저는 디스크 협착증 으로2016년도에 수술을 하고지금까지 허리 통증으로 고통격으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운동으로 완화 시킬수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과거에 허리 협착 수술을 받으셨고 현재 통증이 굉장히 심하신 상태로 시간이 지나면서 통증이 더 심해지셨다면 근력의 약화로 인해서 통증이 더 증가 됬을 수도 있습니다. 협착 같은 경우 신경관의 전체적인 압박으로 인해서 저린 증상 및 통증이 발현되고 대부분 허리의 안정성이 떨어지다 보니 증상들이 나타나게 되십니다. 허리의 안정성을 높여주기 위해서는 적절한 운동이 필요합니다. 대표적으로 허리의 안정성을 높여주기 위해서는 코어 근육을 잘 키워주시는게 무엇보다 중요합니다.대표적인 코어 근육운동으로는 브릿지, 플랭크, 사이드 플랭크, 버드독, 데드버그등이 있고 본인 상태에 맞는 운동을 통증이 없는 범위내에서 해주시는게 무엇보다 중요합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평발을 치유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카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평발 같은 경우 발의 아치가 정상보다 낮아 외부의 충격이나 체중으로 부터 받는 충격을 완화하기 힘든 구조이고 발바닥에 있는 근막이 늘어나 염증 및 통증을 호소할 확률이 높은 상태로, 적절한 운동 및 스트레칭 그리고 중족골 및 아치를 서포트 해줄 수 있는 보조기나 신발을 착용해주시는게 무엇보다 중요한 질환 입니다.일단 발의 내재근강화운동을 잘해주시면 좋을 것 같고, 평소 발의 아치 및 중족골을 잘 서포트 해줄 수 있는 깔창을 사용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평발 같은 경우 체중에도 영향이 많이 가기 때무에 적정 체중을 유지해주시는 것도 중요합니다. 그리고 다른 사람들보다 피로가 빨리 오는게 특징으로 걷는 중간중간 자주 휴식을 취해주시는 것도 중요합니다.평발에 적합한 충격흡수가 용이한 신발 같은 경우 각 브랜드별로 모델별로 잘 나오기 때문에 신어보시고 편한 신발을 신어주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대도록이면 쿠셔닝이 좋은 신발을 신어주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목에 담이 걸렸는데 귀까지 찌릿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목에 담이 걸린지 일주일이 넘었고 귀속까지 이따금 찌릿한 느낌이 있으시다면, 목근육의 과도한 긴장이나 염증으로 인해서 신경의 압박으로 인해서 귀 속 까지 통증이 발생 했을 수도 있고, 목의 디스크나 신경의 압박으로 인해서 발생 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만약 증상이 지속되시거나 더 심해지신다면 정확한 상태 파악을 가까운 병원에 방문하시어 상태 검사 받아보시고 상태에 맞는 치료 및 처치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뼈스캔검사 전반적인 뼈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뼈의 스캔 검사는 체내에 뼈에 잘 흡수되는 물질을 추적하는 검사로, 이 물질을 주사로 주입한 후 카메라를 통해 몸에서 나오는 방사선을 감지해 뼈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검사로, 뼈의 염증 및 감염 종양 골절 등을 발견하는 검사로 초기의 이상이나 미세한 골병변을 찾는데 효과적입니다.특히 엑스레이는 잘 확인이 안되는 미세한 골절이나, 뼈의 악성 종양 및 염증 골다공증의 진행 사항 및 골 이식 이후 경과 상태 검사를 위해서 많이 사용 되며 검사는 30분에서 1시간 정도 시간이 걸립니다.이외에도 뼈의 틀어짐과 염증 같은 경우 엑스레이와 MRI촬영을 통해서도 검사 가능하며 병원들마다 가격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해당 병원에 문의 해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되고 어느정도 규모가 있는 병원급들에서는 검사가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사이트 특성상 특정병원을 말씀 드릴수는 없기에 조금 규모가 있는 종합병원들에 전화를 걸어 문의 해보시면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연골 절제 수술 이후 농구를 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어느정도 재활이 들어가신 이후에는 조심하는 선에서의 러닝 및 농구등의 운동도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수술 후 초기에는 근육도 약해져 있고 관절에 안정성도 떨어지다 보니 안하시는게 맞지만 어느정도 재활이 들어가서 근력도 생기고 관절의 안정성도 생기고 하신다면 무리가 가지 않는 선에서의 운동은 괜찮다고 생각합니다.농구 같은 경우 갑작스러운 방향 전환 및 점프 착지 등에 의해서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이 많은 운동은 맞기는 하지만, 적절한 재활을 통한 무릎의 안정성에 관여하는 대퇴사두근 및 햄스트링 및 엉덩이 둔근들의 운동을 잘 해주시면 격렬할 정도의 운동까지는 아니지만 어느정도의 신체적인 활동은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체중 조절 및 근력을 잘 만들어주시어 무릎에 가해지는 부하를 줄여주시는게 무엇보다 중요합니다.처음부터 너무 무리하게 운동을 하시는 것은 무릎관절에 안 좋을 수 있지만 점진적으로 운동의 강도를 높이면서 운동을 해보시면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요즘 마우스를 자주 이용해서 그런가 오른쪽 두번째 손가락이 너무 아픈데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손가락의 과사용으로 인해서 현재 통증이 있으시다면 여러가지 질환을 의심해 볼 수 있고 질환의 종류 및 상태 시기에 따라 치료 방법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일단 의심되는 질환으로는 힘줄에 염증이 생기는 건초염이나 관절에 염증이 생기는 관절염 혹은 인대의 손상이 발생하는 염좌나 신경의 압박으로 인한 신경병증등 여러가지 질환을 의심해 볼 수 있고, 이는 병원에 방문하시면 엑스레이 및 초음파 검사 MRI촬영을 통해 검진 가능합니다. 일단 적절한 휴식 및 안정을 취해주시는게 무엇보다 중요하고, 상태에 따라 급성기 및 붓기가 있다면 염증 및 부종을 낮추기위한 냉찜질을 하실거고 어느정도 시기가 지났다면 따듯한 온찜질이나 파라핀 치료를 통한 혈액순환증진을 통한 회복을 촉진하기위한 치료를 진행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필요시 보조기나 보호대를 통한 관절의 보호를 통한 회복을 증진 시킬수도 있고 주사나 약물치료등을 하실 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증상이 지속되시거나 심해지신다면 병원에 방문하시어 상태 검사 받아보시고 본인 상태에 맞는 치료 및 처치 받아보시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재활·물리치료
재활·물리치료 이미지
Q.  물리치료 받을때 충격으로 하는 물리치료는 어떤 물리치료 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두드리거나 충격을 주어 치료하는 물리치료 방벙으로는 대표적으로 체외충격파라는 치료기구를 이용한 치료 방법이 존재하고 주로 만성 통증이나 염증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하는 치료 도구로 손상된 조직의 자극을 통해 혈류를 증가시켜 세포의 회복을 촉진하는 치료로 치료를 받고나서 1~2틀 정도는 통증이 조금 더 증가 할 수는 있으나 효과는 좋습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잘때 발가락이 찬 느낌을 받는데 무엇 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잠을 주무실때 발가락이 시리고 간혹 화끈 거리는 느낌도 드신다면 여러가지 질환으로 인해서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디스크나 협착, 당뇨및 신경 병증으로 인한 말초신경의 병증으로 인해 신경의 압박이 발생한 경우 시린 느낌이나 화끈 거리는 느낌이 발생 했을 수도 있고, 혈액 순환의 문제로 인해서 시린 느낌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특히 당뇨병이 있는 경우 고혈당이 지속되면 발끝이 시리고 화끈 거리고 이내 따금 거리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증상이 지속되시거나 더 심해지신다면 가까운 병원에 방문하시어 상태 검사 받아보시고 상태에 맞는 치료 및 처치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재활·물리치료
재활·물리치료 이미지
Q.  허리 부상을 입은 후에 어떤 자세로 있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교통사고 이후에 허리디스크 위험 진단을 받으셨다면 일단 앉아있는 자세는 허리에 안 좋을 수 있습니다. 앉아 있는 자세보다는 서있거나 누워있는 자세가 좋은데 각 자세 별로 장단점이 있기에 너무 한 자세로 있기보다는 자주 자세를 바꿔주시는게 좋습니다.서있는 자세 같은 경우 척추의 근육의 적당한 긴장을 유발하여 척추의 정렬을 잡아 줄 수 있으나 허리에 부담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디스크가 의심된다면 너무 오래 서있는 것은 추천 드리지는 않습니다. 물론 앉아있는 자세보다는 디스크에 부담을 덜 줄 수는 있습니다.누워있는 자세 같은 경우 허리에 부담을 많이 줄일 수 있으며 특히 누운 상태에서 무릎에 베개나 쿠션등을 껴주시어 척추에 부담을 덜어주시고 디스크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여주는 것 또한 도움이 되나 너무 오래 누워있으면 장기적으로 보았을때 오래 누워있으면 허리 근육을 약화시켜 안 좋을 수 있습니다.서있는 자세에서는 자주 자세를 바꿔주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되고 누워있을 경우 다리 뒤에 쿠션을 받쳐주어 허리가 최대한 바닥에 밀착 될 수 있는 자세에서 쉬어주시면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78678778878979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