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리나라 무역 거래가 가장 활발했던 시기는 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2015년~2017년이 가장 많은 무역흑자를 기록했었던 해입니다. 2015년은 90,257,530(천불), 2016년은 89,233,053(천불), 2017년은 95,216,125(천불)을 기록했던 해였습니다. 최근 2년간은 무역적자였으며 올해는 흑자지만 흑자폭이 해당 년도까지 도달하기는 다소 무리가 있을 것으로 보여집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Q. 근래 김 값이 많이 올라가던데 해외에서는 김 생산 안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우리나라 김이 갈수록 해외에서 인기가 있는 관계로 최근에는 수출 효자 품목 중 하나로 자리잡았습니다. 김을 생산하는 나라는 우리나라, 일본, 중국이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두께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술로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결국, 체계적인 김 양식과 상품화 등으로 다른 국가보다 압도적인 품질과 수량이 나오는 관계로 이런 현상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여집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Q. 새로운 무역협정이 우리나라에 미칠 영향에 대한 고찰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RCEP, CPTPP는 기존 양자 협정이 아닌 다자간 협정으로 RCEP은 이미 발효가 되어 있으며, CPTPP는 아직 가입을 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CPTPP는 우리나라가 그동안 여러가지 이유(일본과의 직접적인 FTA, 농수축산물 업계의 반발, 수준높은 규정 등)로 미뤄왔지만 결국 가입의사를 표명했습니다. 물론 미국이 탈퇴해서 약간의 메리트는 사라졌고 말씀하신대로 일본이 반대할 확률도 적지 않은것은 사실입니다. 다만, CPTPP도 외연 확장을 위해서는 조건 수락시 회원국을 받을 확률이 높습니다.CPTPP는 RCEP 대비 농수산물과 공산품 역내 관세 철폐가 높으며, 데이터 거래 활성화, 금융·외국인 투자 규제 완화, 이동 자유화, 국유기업에 대한 보조금 등 지원 금지 등 요구하는 수준이 높습니다. 초기 출범국이 아니다보니 가입이 쉽지 않겠지만 동 협정을 통해 관세 인하 비율이 높아지고 대상 품목도 늘어난다는 점, 공기업 규제나 디지털 서비스 시장 개방 등 국내 업계가 세계 수준의 최신 통상 규범에 발맞출 계기가 될것으로 보여집니다. 결국 우리나라는 무역으로 먹고 사는 나라인 만큼 다양한 무역협정을 통해 FTA 비즈니스 모델에 따른 여러가지 이점을 누릴 수 있습니다. 다만, FTA 협정이라는게 꼭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니므로 취약 산업에 대해서는 아무래도 어느정도 피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